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변압기의 종류

발전플랜트/Study Reference

by ElecMania 2010. 11. 19. 10:36

본문


구    분

유입변압기

몰드변압기

건식변압기

일반유입변압기

아몰퍼스 유입변압기

일반 몰드변압기

아몰퍼스몰드변압기

권선 절연물

A종(105℃)

크라프트지, PressBoard

E종(120℃)

IKP(다이아몬드 패튼지)

B종(130℃)

Epoxy Resin

B종(130℃)

Epoxy Resin

H종(180℃)

Nomex Paper

온도상승

유온

50℃

60℃

-

-

-

권선온도

55℃

65℃

80℃

80℃

120℃

절연특성

안정

안정

안정

안정

불안정

사용장소

옥내, 옥외

옥내, 옥외

옥내

옥내

옥내

철심재질

규소강판 (G-10)

아몰퍼스 메탈

규소강판 (G-11)

아몰퍼스 메탈

규소강판 (G-11)

무부하손실(Watt)

(500kVA기준)

1800

270

2080

430

2500

전력손실

보통(8700)

작다(7170)

보통(8640)

작다(6990)

크다

전기요금(60% 부하율)

100

64

100

63

-

상대적인 가격(%)

60

85

100

145

-

소    음

작다

작다

보통

보통

크다

충격내전압(24KV급)

150kV

150kV

95kV

125kV

95kV

단락강도

보통

보통

강하다

강하다

약하다

크기(500kVA기준)

가로×세로×높이

1450×1100×1640

1450×1100×1640

1500×850×1600

1160×850×1600

-

중  량(500kVA기준)

2050kg

2050kg

1750kg

1680kg

 

고조파 부하(5%함유시)

온도상승 크다 (23%)

온도상승 적다 (6%)

온도상승 크다 (23%)

온도상승 적다 (6%)

온도상승 크다 (23%)

과부하 내량

보  통

크다

크다

매우크다

보  통

장 점

ꋯ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어왔으며 가격이 저렴함

ꋯ소음이 적으며 충격내전압이 높아 차단기2차측에 별도의 SA를 시설하지 않아도 됨

ꋯ옥내.옥외등 설치장소에 구애받지 않는다

ꋯ일반 유입변압기의 장점을 그대로 갖고 있다.

ꋯ신소재인 아몰퍼스 코아 사용으로 무부하손실을 기존유입의 1/5수준으로 낮추어 전력손실이 작다.

ꋯE종 절연물 채용으로 절연물의 열화에 의한 변압기 사고 방지

ꋯ변압기의 발열량이 적어 설치면적이  작다.

ꋯ철심의 발열량이 적어 권선 및 절연물들의 경년변화를 줄일수 있어 제품 수명이 길다.

ꋯ철심의 발열에 의한 권선의 온도상승을 최소화 하여 과부하내량이 커짐

ꋯ권선의 몰딩처리로 우수한 기계적 단락 안정성

ꋯ편리한 유지 보수

ꋯ절연특성이 우수하여 안정성이 있다.

ꋯ난연성, 내습성 등으로 옥내용으로 적합

ꋯ일반몰드변압기의 장점을 그대로 갖고있다.

ꋯ신소재인 아몰퍼스 코아 사용으로 무부하손실을 기존몰드의 1/5수준으로 낮추어 전력손실이 가장작다

ꋯ특수한 권선 구조로 외형 치수 작아짐

ꋯ변압기의 발열량이 적어 설치면적이 가장 작다.

ꋯ철심의 발열량이 적어 권선 및 절연물들의 경년변화를 줄일수 있어 제품 수명이 가장 길다.

ꋯ철심의 발열에 의한 권선의 온도상승을 최소화 하여 과부하내량이 커짐

ꋯ화재의 위험이 없고 가벼움

ꋯ편리한 유지보수

단 점

ꋯ절연유의 발화온도가 낮고 연소성임 (대용량변압기 안전장치 필요)

ꋯ절연물의 내열온도가 A종(105℃)로 과부하 사용시 열화되기 쉬움

ꋯ옥내에 설치할 경우 오일의 유출등을 고려한 시설이 요구됨

ꋯ옥내에 설치할 경우 오일의 유출등을 고려한 시설이 요구됨

ꋯ유입변압기보다는 소음이 큼

ꋯ충격내전압이 낮아 차단기2차측에 SA를 설치하여야 함

ꋯ동일 용량일 경우 유입변압기에 비해 무부하 손실이 커짐.

ꋯ고전압 인가 부분이 노출되어 절연거리 확보 필요(외함필요)

ꋯ유입변압기보다는 소음이 큼

ꋯ가격이 고가이다.

ꋯ고전압 인가 부분이 노출되어 절연거리 확보 필요(외함필요)

ꋯ타 기종의 변압기에 비하여 소음이 큼

ꋯ일반적으로 저압에 사용되며 6.6kV 이하에서 주로 사용 됨

ꋯ특고압의 경우 공기의 조건에 따라 절연특성이 불안함

ꋯ권선이 외부로 노출되어 접촉에 의한 사고 위험(외함 필요)

사용실적

ꋯ일반적으로 옥외용으로 널리 사용됨

ꋯ아몰퍼스 주상변압기는 97년부터 년간 5,000대 이상 사용중이며,  전력용변압기는 국내.외에서 사용 확대중

ꋯ자가용설비의 옥내설치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음

ꋯ2000.11월 공인기관 인정시험 합격

ꋯ국내 사용실적은 없으나, 국외에서  사용 확대 중

ꋯ소형,고압(7.2kV)이하에서 주로사용됨

선 정

 

 

 

 

 

선 정 사 유

ꋯ철심의 재질은 날로 높아지는 에너지 비용의 절감을 위해 무부하손실(기존의 1/5수준)이 적은 아몰퍼스 코아가 유리

ꋯ아몰퍼스 변압기는 ‘국산신기술’, ‘조달청우수제품’, ‘고효율기자재’등의 인증을 받은바 제품의 신뢰성이 확보됨

ꋯ산업자원부 고시 제2000-103호(2000.9.28)에 의거 고효율기자재로 채택된 아몰퍼스 변압기를 의무 사용토록 하고있음

ꋯ제품 가격차이 금액의 회수기간은 전기요금으로 환산하면 평균 2.5년 정도이므로 제품수명(20년)을 감안할 때 아몰퍼스 변압기가 경제적임

ꋯ따라서 설치면적을 최소화하고 에너지 비용절감 및 운전상의 안전성,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아몰퍼스     변압기가 가장 유리함

궁금한 점이나 함께 토론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면 댓글 또는 방명록에 남겨 주세요 ^^

'발전플랜트 > Study Refer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라후? 트라프? 트로프? trough  (0) 2010.11.23
Terminal Lugs  (0) 2010.11.19
BUS BAR 규격별 허용전류  (0) 2010.11.18
압착단자 규격  (0) 2010.11.02
LNG, LPG, PNG, NGV, 메탄하이드레이트  (0) 2010.10.29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