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 / Transformer
배전반 / Switchgear
참고자료
인기글
-
전기 심볼 및 약어 참고
2. 기구 번호 (Device No.) 번호 기구명칭 번호 기구명칭 1 주제어 개폐기 49 회전기용 온도계전기 2 기동용 한시 계전기 50 순시 과전류 계전기 3 조작 개폐기 51 교류 한시 과전류 계전기 5 정지용 개폐기 52 교류 차단기 6 기동용 접촉기 54 직류 고속도 차단기 8 제어전원 개폐기 59 교류 과전압 계전기 10 순서 개폐기 60 전압 자동평형 계전기 12 Over speed relay 62 한시 정지 계전기 13 동기속도 개폐기 63 압력 계전기 14 저속도 개폐기 64 지락 과전압 계전기 15 속도 조정장치 65 Governor (발전기 속도조정기) 18 가속 및 감속용 접촉기 66 단속 계전기 21 거리 계전기 67 교류전력 방향 계전기 23 습도조정 계전기 70 전기저작 가감저..
2021.04.27 22:28 -
공조설비 전체 흐름도
그림에서 보면 오른쪽이 난방, 왼쪽이 냉방, AHU를 포함한 위쪽이 공조기기 입니다. 난방과 냉방 2가지로 나눠서 설명 드릴께요. 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가 감압밸브 스팀해더를 거쳐 AHU안의 난방코일로 가서 난방을 하고 열을 빼앗긴 수증기는 다시 물로 되어 응축수 탱크에 모이고 이 응축수가 다시 보일러로 들어가서 증기가 되는 순환 과정을 거칩니다. 공조기에 사용되는 난방은 증기나 온수가 사용됩니다. 2가지다 장단점이 있는데 그것까지 설명할려면 너무 길어질거 같네요... 감압밸브는 말그대로 스팀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감압하는데 사용됩니다. 스팀해더는 그림에서 보신것 처럼 일종의 분배기 입니다. 냉방쪽을 보면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냉매가 물을 냉각시켜서 냉수를 공급하는 구조네요. 냉수 순환펌프에 의해서 냉..
2009.05.13 16:13 -
발전용어 표준
no.1 발전용어해설집, 한국서부발전 발전처 25,200원 후기확인 (0) 약어 명칭 해석 A AMPERE, AMPERE METER 전류 단위, 전류계 A ALARM 경보 A OUTPUT (APC) 출력 A ANALOG ↔ DIGITAL 아날로그 A LOGIC STEADY SIGNAL FOR AUTO (SQC) 자동 준비 신호 A ANALYSIS 분석 A1 AUTO COMMAND-OFF/CLOSE (SQC) 자동 명령 정지 / 폐 A2 AUTO COMMND-ON/OPEN (SQC) 자동 명령 기동 / 개 AA AUTOMATIC AUTO 자동명령 AUTO AA ADDITIONAL AIR 추가 연소 공기 AA ATOMIZING AIR 연료 분무용 공기 AA AUXILIARY AIR 보조 연소 공기 AA01 ..
2019.12.03 22:35 -
건설안전기사 11개년 문제 요약정리 (파일첨부)
no.2 2020 건설안전기사 필기 과년도, 세화 33,300원 후기확인 (22) no.3 2020 산업안전기사 과년도, 구민사 25,200원 후기확인 (27) no.4 산업안전기사 실기 필답형+작업형(2020):전과목 무료동영상, 구민사 30,600원 후기확인 (34) no.6 산업안전기사 필기(2021):전과목 무료동영상/주요과목 핸드북, 구민사 28,800원 후기확인 (30) no.7 에듀윌 산업안전산업기사 필기 한권끝장(2020):2020년 1월 16일 최신 전격 반영 25,200원 후기확인 (23) no.8 2020 건설안전 기사/산업기사 실기 필답형, 세화 36,000원 후기확인 (11) no.9 에듀윌 산업안전기사 실기 한권끝장(2020):산업안전보건법 최신개정반영 30,600원 후기확인 (..
2021.04.24 16:03 -
단락전류 계산과 차단기 선정
수배전설비의 단락전류계산과 차단기 선정 2004. 6. 3 목 차 1. 단락전류 계산목적 2. 단락전류 계산법 2.1 계산법의 종류 2.2 %임피던스법 3. 단락전류의 계산 3.1 단락전류의 종류 3.2 단락전류 공급원 3.3 단락전류 계산에 필요한 임피던스 3.4 비대칭 계수 3.5 단락전류 계산(3상단락) 4. 단락전류 계산 예 4.1 수변전설비 4.2 저압 배전설비 5. 맺음말 1. 단락전류의 계산목적 1) 차단기 차단용량 결정 2) 케이블의 굵기 선정 3) 전력기기의 절연레벨 결정 4) 보호계전기의 정정 5) 계통의 구성 2. 단락전류 계산법 단락전류 계산방법에는 대칭좌표법, 클라크좌표법, Ohm법, %임피던스법, PU법 등이 있으나 건축전기설비에는 %임피던스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2.1 계산..
2013.04.19 09:08 -
속시원하게 알려주는 손쉬는 단락전류(고장전류) 계산법
단락은 가장 일반적인 배전계통의 사고로서 계통 보호에 있어 가장 주된 관심사이다. 다행히도, 단락전류 계산은 비교적 쉬운 편이다. 3상 단락 전류는 계통 분석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 간략하게 컴퓨터 없이도 할 수 있는 수계산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변압기의 고장 전류를 구하는 방법 1000kVA, 13.8kV - 480Y/277V 변압기를 가정해 보자 Full Load Ampere 는 KVA / ( 1.73 x L-L kV ) 이므로 1000 / ( 1.732 x 0.48 ) = 1,202.85 이다. 변압기의 Percent Impedance가 5.75% 일 경우 1202.85 / 5.75% = 20,919.13 A 가 3상 단락 전류가 된다. 실제 계산에서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몇..
2019.12.03 22:23 -
아킹혼, 아크혼, arc horn, arcing horn
출처 : http://www.eom.co.kr/3.engineering/2.elec/wordbook/8.ah.htm 송전선에 플레시 오버가 생겼을 때 아크열에 의한 애자의 파손이나 전선의 용단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장치 금속전극이 애자 연의 상하에 전선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으면 플레시 오버가 생겨도 아크는 전극의 선단에서 발생하므로 애자나 권선을 보호할 수 있다.
2011.08.01 15:58 -
대한민국 해상풍력 인허가 관련 요약
1. 해상풍력 프로젝트 현황 및 전망정부 정책 변화: 2017년 "재생에너지 3020" 계획을 통해 탄소 배출량 감소 및 재생에너지 비중 확대를 추진했으나, 현 정부 들어 원자력 발전에Emphasis가 두드러지면서 해상풍력 분야에 대한 정부 주도의 적극적인 지원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있습니다."This emphasis on nuclear power has left the renewables sector wanting for government leadership, especially in the offshore wind space (which many analyst view as the rene-wables technology with the most potential for growth in Korea)..
2025.03.12 12:00 -
변압기 교육 자료
1장 변압기 개요 1.전자유도작용과 변압기 원리 변압기란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교류전압을 변환하는 정지유도장치(靜止誘導裝置, Static induction instrument)로서 자기회로인 철심(Core)과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권선(Wind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유도작용은 “코일의 유기기전력은 그 코일과 쇄교하는 자속의 변화량에 비례한다.” 는 것이며, 변압기는 이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한 권선에 공급한 교류전력을 다른 권선에 동일한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변압기는 둘 이상의 전기회로가 하나의 공통된 자기회로에 쇄교하는 구조이다. 권선은 입력측(통상1차측)과 출력측(통상 2차측)으로 구분하여 1차측 권선에 가해지는 전력을 2차측 권선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1차측..
2019.12.20 11:01 -
변압기 탭(Tap)이란??
1. 변압기 탭(Tap)이란? 일반적으로 1차 권선의 Turn수를 조정하여 원하는 2차 전압을 얻기 위한 장치이다. 2. 탭(Tap) 조정의 목적 2.1 수전단의 계통전압 변동에 의해 원하는 2차 전압이 높거나 낮아짐으로 이를 정격 상태로 조정하기 위한 목적. 2.2 특별한 부하의 경우 강제적으로 2차 전압을 조정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3. 탭(Tap) 조정 장치의 종류 3.1 무전압 탭조정 장치(NLTC / No-Load Tap Changer) 변압기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 즉 변압기의 사용을 정지한 상태에서 탭 조정이 가능한 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인 경우의 거의 모든 배전급 변압기에서 주로 사용된다. 정전후 변압기 뚜껑 열고 변압기 내부에 있는 탭(아래 그림 우측[1차측] 코일부분에 보..
2019.12.05 09:03 -
동기 발전기 부하분담(Droop) 운전 및 속도제어
동기 발전기 부하분담(Droop) 운전 및 속도제어 발전기가 계통에 연결되어 실제(터빈)속도와 속도기준신호(Speed Reference)의 차에 비례하여 기준신호를 변화시켜 계통에 연결된 터빈이 일정한 출력하에 계통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1) 부하분담 (Droop) 운전(1) 부하분담 즉 "Droop=수그러지다, 늘어지다. 시들다, 쇠약해지다"라는 뜻을 가지며, 일반 발전기 차단기가 계통에 투입되면 발전기속도는 동기 속도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고, 연료량을 무부하 정격속도 유지에 필요한 양보다 많이 공급하면 속도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발전기 출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속도제어 Roop는 실제 부하제어루프로 작용하며, 속도기준 신호는 결국 원하는 부하신호가 되는 셈이다. 전력계통이 과부하..
2019.12.04 06:08 -
zig-zag transformer 를 왜 사용할까?
When You Ground Ungrounded System With Grounding Transformer (photo credit: http://www-ppd.fnal.gov) 3상 시스템에서 중성점은 직접 접지 되거나 또는 impedance/resistance를 통해 접지된다. 그런데 델타 권선의 경우와 같이 중성점을 구할 수 없을때는 중성점을 만들어내야 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접지변압기가 사용되고, 이는 지그재그 변압기 또는 Y-D 변압기이다. 가장 중요한 목적은 : 1) 고조파 제거 2) 사고시의 전압상승 억제 https://circuitglobe.com/zig-zag-transformer.html 고장전류의 통로로 이용하여 delta system 에서의 고장전류 검출 및 차단의 목적으로 지그재..
2019.08.06 09:33 -
전선관 CD관 ELP관 PF관 PE관의 차이점과 특징??
1) PF - Plastic Flexible 관을 말한다. 가요성(휨)이 좋다 . 난연성인 외피가 있는 것이 많다. 외부에 주름이 있다 콘크리트 매입시나 노출 배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전선관이 내부와 외부의 2 중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2) CD - Combine Duct 관을 말한다. 가요성(휨)이 좋다 . 색상별로 제품이 있어서 배관이 용이 하다. 외부에 주름이 있다. 콘크리트 매입용으로 사용하며 , 노출 배관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3) ELP -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지중 전선관을 말한다. 주름이 깊게 있어서 압력에 견디도록 설계 제작이 되어있다. 외부에 주름이 있다. 내부에 코팅된 철선이 들어 있어서 장거리의 배선시에 유리하다..
2009.06.23 15:16 -
송변전 순화 용어 핸드북
송변전 순화 용어 핸드북 차 례 Ⅰ. 송변전 순화 용어 및 통일화 용어 1. 순화 용어 2. 통일화 용어 3. 추천 용어 4. 주요단위 및 영문표기 기준 Ⅱ. 기타 참고용어 1. 표준 급전용어 2. 배전분야 순화 용어 3. 자주쓰는 용어 풀이 Ⅰ. 송변전 순화용어 및 통일화 용어 1. 순화 용어 현 행 순 화(안) 용어 의미 및 사용 예시 조류 (潮流) 전력 (전력흐름) •전류의 흐름, 통상 “전력의 흐름” 의미로 사용함 例)154kV ○○T/L 고장 당시 조류(→전력) 130MW 재폐로 (再閉路), R/C 자동투입 (自動投入) •선로 고장시 차단기 차단 직후 자동으로 다시 투입 되는 것 例)154kV ○○T/L 재폐로(→자동투입) 성공 강송(强送), 강행송전 (强行送電) 수동송전 (手動送電) •선로 고..
2011.04.27 21:15 -
DCS 제어와 ICMS제어의 차이점
발전 플랜트에서 상용하고 있는 제어 방식중 DCS CONTROL 과 ICMS CONTROL의 요점과 그들의 차이점을 알고자 글 올립니다.. => 제어설비 자체의 차이가 아니고 구성의 차이입니다. 통상 package의 경우 자체의 제어설비를 PLC 등으로 구성하지만, ICMS는 DCS에 이런 package 제어설비의 기능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즉 ICMS가 적용된 발전플랜트에는 PLC가 없고 모든 설비가 주제어설비인 DCS에서 운전되는 것이죠. DCS : Distributed Control System의 약자로 분산제어시스템 ICMS : Intergrated Control & Monitoring System의 약자로 통합제어시스템입니다. 목적은 1. 전체설비 종합감시, 운영체제 구축 2. 단일기종으로 통합..
2011.04.03 1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