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압기 / Transformer
배전반 / Switchgear
참고자료
인기글
-
전기 심볼 및 약어 참고
2. 기구 번호 (Device No.) 번호 기구명칭 번호 기구명칭 1 주제어 개폐기 49 회전기용 온도계전기 2 기동용 한시 계전기 50 순시 과전류 계전기 3 조작 개폐기 51 교류 한시 과전류 계전기 5 정지용 개폐기 52 교류 차단기 6 기동용 접촉기 54 직류 고속도 차단기 8 제어전원 개폐기 59 교류 과전압 계전기 10 순서 개폐기 60 전압 자동평형 계전기 12 Over speed relay 62 한시 정지 계전기 13 동기속도 개폐기 63 압력 계전기 14 저속도 개폐기 64 지락 과전압 계전기 15 속도 조정장치 65 Governor (발전기 속도조정기) 18 가속 및 감속용 접촉기 66 단속 계전기 21 거리 계전기 67 교류전력 방향 계전기 23 습도조정 계전기 70 전기저작 가감저..
2021.04.27 22:28 -
발전용어 표준
no.1 발전용어해설집, 한국서부발전 발전처 25,200원 후기확인 (0) 약어 명칭 해석 A AMPERE, AMPERE METER 전류 단위, 전류계 A ALARM 경보 A OUTPUT (APC) 출력 A ANALOG ↔ DIGITAL 아날로그 A LOGIC STEADY SIGNAL FOR AUTO (SQC) 자동 준비 신호 A ANALYSIS 분석 A1 AUTO COMMAND-OFF/CLOSE (SQC) 자동 명령 정지 / 폐 A2 AUTO COMMND-ON/OPEN (SQC) 자동 명령 기동 / 개 AA AUTOMATIC AUTO 자동명령 AUTO AA ADDITIONAL AIR 추가 연소 공기 AA ATOMIZING AIR 연료 분무용 공기 AA AUXILIARY AIR 보조 연소 공기 AA01 ..
2019.12.03 22:35 -
변압기 교육 자료
1장 변압기 개요 1.전자유도작용과 변압기 원리 변압기란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교류전압을 변환하는 정지유도장치(靜止誘導裝置, Static induction instrument)로서 자기회로인 철심(Core)과 전기회로를 구성하는 2개 이상의 권선(Wind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유도작용은 “코일의 유기기전력은 그 코일과 쇄교하는 자속의 변화량에 비례한다.” 는 것이며, 변압기는 이 전자유도작용을 이용하여 한 권선에 공급한 교류전력을 다른 권선에 동일한 주파수의 교류전력으로 변환한다. 따라서 변압기는 둘 이상의 전기회로가 하나의 공통된 자기회로에 쇄교하는 구조이다. 권선은 입력측(통상1차측)과 출력측(통상 2차측)으로 구분하여 1차측 권선에 가해지는 전력을 2차측 권선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1차측..
2019.12.20 11:01 -
송변전 순화 용어 핸드북
송변전 순화 용어 핸드북 차 례 Ⅰ. 송변전 순화 용어 및 통일화 용어 1. 순화 용어 2. 통일화 용어 3. 추천 용어 4. 주요단위 및 영문표기 기준 Ⅱ. 기타 참고용어 1. 표준 급전용어 2. 배전분야 순화 용어 3. 자주쓰는 용어 풀이 Ⅰ. 송변전 순화용어 및 통일화 용어 1. 순화 용어 현 행 순 화(안) 용어 의미 및 사용 예시 조류 (潮流) 전력 (전력흐름) •전류의 흐름, 통상 “전력의 흐름” 의미로 사용함 例)154kV ○○T/L 고장 당시 조류(→전력) 130MW 재폐로 (再閉路), R/C 자동투입 (自動投入) •선로 고장시 차단기 차단 직후 자동으로 다시 투입 되는 것 例)154kV ○○T/L 재폐로(→자동투입) 성공 강송(强送), 강행송전 (强行送電) 수동송전 (手動送電) •선로 고..
2011.04.27 21:15 -
직입기동이란..?
모타 기동 방식에는 간단하게 직입기동/Yㅡ델타기동/리엑터기동 /인버터기동/컨버터기동 방식이 잇읍니다. 다른 복잡한 방식도 있지만 주로 이방식을 씁니다. 여기서 직입기동 이라는 것은 실은 기동 방식이 아니죠. 그냥 스위치 넣고 돌리는겁니다. 그런 방식이 있다는것이지 실지 로는 기동 방식에서 제외됩니다. 위의 다른 기동 방식을 쓰는 이유는 모타는 기동시에 단상모타는 4배~9배/삼상모타는 2배~5배 정도의 기동 전류가 필요 합니다. 그래서 기동전류를 줄이려고 상기 기동방식을 쓰는겁니다. 1.기동 전류가 커지면 우선 차단기가 내려 가서 차단기를 큰 용량으로 바꾸어야 하고,그러면 실지 과부하시 모타를 보호하지 못합니다.ㅡ차단기 용량이 큰관계로 차단기 교체로 비용이 발생 합니다.ㅡ차단기도 용량이 크면 고가 임 2...
2019.12.03 22:33 -
플랜트 표준 약어
약어(略語) 원 어 (原 語) 한글풀이 & AND 그리고,및,와,과 CL CENTER LINE 중심선 Φ DIAMETER(mm) 직경 ' FEET 12인치 " INCH 2.54㎝ # NUMBER 번호,제 PL PLATE 철판(板) ± PLUS OR MINUS 가감 □ SQUARE 사각,제곱 A AMPERE 전류 A AMPERE METER 전류크기의 단위,전류계 AA ADDITIONRY AIR 추가연소공기 AA AUXILIARY AIR 연소보조공기 ABB AIR BLAST CIRCUIT BREAKER 공기차단기 ABC AUTOMATIC BLR CONTROL 보일러 자동제어 ABMA AMERICAN BOILER MANUFACTURER'S ASSOCIATION 미국 보일러 제작사협회 Abs ABSOLUTE 절..
2011.02.17 08:46 -
조명기구의 종류와 용도
과거의 조명기구는 빛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위주로 제작하였으나 과학기술이 발전하고 소비자의 계층이 다양해지면서 빛의 질적인 이용과 외관 디자인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이는 어둠을 밝힌다는 기능 외에 건축공간을 구성하는 일부분으로서 건축요소로 쓰여지고 실내건축에서는 인테리어 분위기와 어울리는 악세사리의 성격으로도 이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라이팅레일이란 전류를 통하게 하는 덕트(DUCT)로 1950년대 발명 되었으며. 매입형과 노출형 타입이 있다. 레일에 적합한 기구를 쉽게 붙이고 뗄 수 있다. 등기구는 주로 스포트 라이트가 많이 사용되는데 배광 변화도 풍부하고 대부분은 필터와 루버의 옵션을 갖추고 있다. 단 한 회로의 레일은 부하설비 용량에 관계로 등기구의 수량이 제한되 그조건안에 배등해야 한다..
2010.02.26 21:30 -
[비상발전기 용량] 고조파 부하 가중치 적용
KDS 31 60 20 예비전원설비 설계기준에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방식이 최근 개정되었다. 출처 : https://www.codil.or.kr/detailAnwGuide.do?nserialno=2454 https://link.coupang.com/a/lkcIP 가정용 로잉머신 짭셉 피트니스 장비 방수 노젓기 COUPANG www.coupang.com 기존의 Pg 법이 아닌 새로운 기준이 적용 되었는데 아래와 같다. 여기서 고조파 왜형에 따른 가중치를 IEC 61000-3-6의 표6에 따라 적용하게 되어 있는데 12펄스 컨버터의 경우 가중값이 0.5밖에 되지 않는다. 결국 부하값의 절반 용량으로 발전기를 적용하라는 뜻인가?? 이에 대한 유권 해석은 아래와 같다. 다양한 고조파발생 기기에 대한 대표적인 종합..
2022.03.24 22:49 -
변압기 탭(Tap)이란??
1. 변압기 탭(Tap)이란? 일반적으로 1차 권선의 Turn수를 조정하여 원하는 2차 전압을 얻기 위한 장치이다. 2. 탭(Tap) 조정의 목적 2.1 수전단의 계통전압 변동에 의해 원하는 2차 전압이 높거나 낮아짐으로 이를 정격 상태로 조정하기 위한 목적. 2.2 특별한 부하의 경우 강제적으로 2차 전압을 조정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 3. 탭(Tap) 조정 장치의 종류 3.1 무전압 탭조정 장치(NLTC / No-Load Tap Changer) 변압기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상태, 즉 변압기의 사용을 정지한 상태에서 탭 조정이 가능한 장치를 말하며 일반적인 경우의 거의 모든 배전급 변압기에서 주로 사용된다. 정전후 변압기 뚜껑 열고 변압기 내부에 있는 탭(아래 그림 우측[1차측] 코일부분에 보..
2019.12.05 09:03 -
R,S,T, U,V,W 등 상표시
특별한 의미는 없습니다. 그러나 3가닥을 서로 구분은 해야하기때문에 알파벳 순서로 정한 것입니다. 그리고 RST는 입력측 UVW는 출력측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가령 인버터의 입력측은 RST, 출력측은 UVW이렇게 표시된것이 많고 변압기의 입력은 대문자 UVW, 출력인2차측은 소문자 uvw입니다. 또, 한국 일본은 RST를 많이 사용하고 유럽은 UVW를 많이 사용합니다. RST, UVW는 각 선을 나타내고 ABC는 전선보다는 각 상(PHASE)를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합니다. 주로 모타 상에느 U V W 로 표시하고 전원상에 R S T 로 표시 됩니다. XYZ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주로 사용되는것은 상기 방식인것 같습니다.
2010.04.23 15:30 -
동기 발전기 부하분담(Droop) 운전 및 속도제어
동기 발전기 부하분담(Droop) 운전 및 속도제어 발전기가 계통에 연결되어 실제(터빈)속도와 속도기준신호(Speed Reference)의 차에 비례하여 기준신호를 변화시켜 계통에 연결된 터빈이 일정한 출력하에 계통주파수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1) 부하분담 (Droop) 운전(1) 부하분담 즉 "Droop=수그러지다, 늘어지다. 시들다, 쇠약해지다"라는 뜻을 가지며, 일반 발전기 차단기가 계통에 투입되면 발전기속도는 동기 속도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고, 연료량을 무부하 정격속도 유지에 필요한 양보다 많이 공급하면 속도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고 발전기 출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속도제어 Roop는 실제 부하제어루프로 작용하며, 속도기준 신호는 결국 원하는 부하신호가 되는 셈이다. 전력계통이 과부하..
2019.12.04 06:08 -
전선관 CD관 ELP관 PF관 PE관의 차이점과 특징??
1) PF - Plastic Flexible 관을 말한다. 가요성(휨)이 좋다 . 난연성인 외피가 있는 것이 많다. 외부에 주름이 있다 콘크리트 매입시나 노출 배관용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전선관이 내부와 외부의 2 중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2) CD - Combine Duct 관을 말한다. 가요성(휨)이 좋다 . 색상별로 제품이 있어서 배관이 용이 하다. 외부에 주름이 있다. 콘크리트 매입용으로 사용하며 , 노출 배관용으로 사용해서는 안된다. COUPANG 쿠팡은 로켓배송 www.coupang.com 3) ELP -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지중 전선관을 말한다. 주름이 깊게 있어서 압력에 견디도록 설계 제작이 되어있다. 외부에 주름이 있다. 내부에 코팅된 철선이 들어 있어서 장거리의 배선시에 유리하다..
2009.06.23 15:16 -
속시원하게 알려주는 손쉬는 단락전류(고장전류) 계산법
단락은 가장 일반적인 배전계통의 사고로서 계통 보호에 있어 가장 주된 관심사이다. 다행히도, 단락전류 계산은 비교적 쉬운 편이다. 3상 단락 전류는 계통 분석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된다. 이번 포스팅에서 간략하게 컴퓨터 없이도 할 수 있는 수계산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변압기의 고장 전류를 구하는 방법 1000kVA, 13.8kV - 480Y/277V 변압기를 가정해 보자 Full Load Ampere 는 KVA / ( 1.73 x L-L kV ) 이므로 1000 / ( 1.732 x 0.48 ) = 1,202.85 이다. 변압기의 Percent Impedance가 5.75% 일 경우 1202.85 / 5.75% = 20,919.13 A 가 3상 단락 전류가 된다. 실제 계산에서는 고려해야 할 사항이 몇..
2019.12.03 22:23 -
차단기 용량표기에 대한 설명
차단기 용량표기에 대한 설명 ㅇ 먼전 차단기에 용량 표기에 대한 사항을 말씀드리면 1. AF는 Ampere Frame의 initial 입니다. Frame의 사전적 의미는 뼈대, 구조, 틀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Frame 용량은 일반적으로 30, 50, 60, 100, 225, 400, 600, 800, 1000, 1200등으로 생산됩니다. Trip치에 관계없이 이들 각각 규격의 size는 동일합니다.( Ex : 100AF/100AT 과 100AF/75AT의 외형크기는 동일) 2. AT는 Ampere Trip의 initial로서 규격은 일반적으로 15, 20, 30, 40, 50, 60, 75, 80, 100, 125, 150, 175, 200, 225, 250, 300......, 등입니다 3. ..
2009.07.14 17:02 -
케이블 최소도체 사이징에 고장전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이유?
일반적으로 케이블 사이즈 산정에 고려되는 요소는 아래 3가지이다. 1) 고장전류에 따른 최소 단면적 2) 케이블 허용전류 3) 전압강하 하지만 고장전류를 고려할 경우 케이블 크기가 매우 커져서 경제적인 설계가 어려워 진다. CB로 구성된 회로일 경우에는 물론 고장전류를 고려하여 설계 하여야 하지만, MCCB 또는 Fuse를 사용하는 회로의 경우 고장전류를 고려하지 않아도 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위에 기술한 것과 같이 MCCB / Fuse의 Let-through energy가 케이블의 withstood energy 이하이면 된다. 하지만 다음 포스팅을 보면 사이징에 고려할 필요는 없지만, 차단기 rating 등 검토는 필요하다.
2019.07.19 09: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