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변전 순화 용어 핸드북
차 례
Ⅰ. 송변전 순화 용어 및 통일화 용어
1. 순화 용어
2. 통일화 용어
3. 추천 용어
4. 주요단위 및 영문표기 기준
Ⅱ. 기타 참고용어
1. 표준 급전용어
2. 배전분야 순화 용어
3. 자주쓰는 용어 풀이
Ⅰ. 송변전 순화용어 및 통일화 용어
1. 순화 용어
현 행 |
순 화(안) |
용어 의미 및 사용 예시 |
조류 (潮流) |
전력 (전력흐름) |
•전류의 흐름, 통상 “전력의 흐름” 의미로 사용함 例)154kV ○○T/L 고장 당시 조류(→전력) 130MW |
재폐로 (再閉路), R/C |
자동투입 (自動投入) |
•선로 고장시 차단기 차단 직후 자동으로 다시 투입 되는 것 例)154kV ○○T/L 재폐로(→자동투입) 성공 |
강송(强送), 강행송전 (强行送電) |
수동송전 (手動送電) |
•선로 고장시 차단기 차단 후 수동으로 다시 송전 하는 것 例)154kV ○○T/L 강송(→수동송전) 성공 |
조작기사 (操作記事) |
조작절차서 (操作節次書) |
•휴전 및 복구 조작 등 계통조작 순서를 적은 서류 例)휴전승인서 발생시 조작기사(→조작절차서) 첨부 |
부하절체 (負荷切替) |
부하전환 (負荷轉換) |
•부하의 공급계통을 바꾸는 것 例)#1변압기 부하, #2변압기로 부하절체 (→부하전환) |
Loop (루프)계통, 환상망계통 |
다중계통 (多重系統) |
•두 곳 이상의 발(변)전소로부터 전력을 송수전하는 계통 例)345kV 계통은 환상망계통(→다중계통)으로 구성 |
Radial계통, 방사상계통 |
단일계통 (單一系統) |
•한 곳의 발(변)전소로부터 전력을 송수전하는 계통 例)방사상계통(→단일계통) 루트 단절시 정전 발생 |
긍장(亘長) |
선로길이 |
•송전단과 수전단 발(변)전소 간의 거리 例)송전선로 회선긍장은(→회선길이는) 긍장(→선로길이)에 회선수를 곱함 |
회선긍장 (回線亘長) |
회선길이 |
|
경간(徑間) |
지지물간 거리 |
•지지물과 지지물 사이의 거리 例)송전선로 경간이(→지지물간 거리가) 길수록 이도가(→처짐이) 커짐 |
이도(弛度), Dip, Sag |
처짐 (처짐정도) |
|
지상고 (地上高) |
전선높이 |
•대지로부터 최하단 송전선 최저점까지의 높이 例)지상고(→전선높이)를 높여 안전이격 거리 확보 |
가공지선 (架空地線), G/W |
낙뢰차폐선 (落雷遮蔽線) |
•철탑 등의 꼭대기에 설치되어 낙뢰가 전력선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전선 例)가공지선(→낙뢰차폐선)은 송전선로 최상단에 설치 |
가선(架線) |
전선설치 |
•전선을 설치하는 것 例)송전선로 가선(→전선설치)공사는 먼저 연선(→전선펴기) 공사 후 적정 이도(→처짐정도) 확보를 위한 긴선(→전선당기기)공사 순으로 시행함 |
연선(延線) |
전선펴기 |
|
긴선(緊線) |
전선당기기 |
|
병가(竝架) |
병행설치 (병행가선) |
•전력선을 위아래로 나란히 설치하는 것 例)송전선로 4회선 병가(→병행설치)구간 |
가철주 (假鐵柱) |
임시철주 |
•철탑이 넘어지는 경우 등에 임시로 사용하는 철주 例)긴급시 가철주(→임시철주) 이용 임시선로 구성 |
Sleet Jump |
전선도약 (電線跳躍) |
•전선에 붙어있던 얼음이 떨어지면서 전력선이 튀어오르는 현상 例)빙설 탈락으로 Sleet Jump(→전선도약) 발생 |
상도(上塗) |
바깥칠 |
例)도장공사는 하도와(→바탕칠과) 상도(→바깥칠)로 구분 |
하도(下塗) |
바탕칠 |
|
이완(弛緩) |
풀림 |
•볼트 등이 당초 고정상태보다 느슨하게 풀리는 것 例)송전선로 철탑볼트 이완(→풀림) 방지용 로킹너트 |
도괴(倒壞) |
넘어짐 |
•철탑, 전주 등이 넘어지는 것 例)태풍 내습으로 154kV ○○T/L 철탑 도괴(→넘어짐) |
유지보수 (維持補修) |
정비 (整備) |
•설비 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정비하는 것 例)송변전설비 유지보수(→정비) 철저 |
쇄정(鎖錠) |
잠금 |
•어떤 장치나 밸브 등을 동작이 안되도록 잠그는 것 例)차단기 자동투입 쇄정(→잠금) |
대체(代替) |
교체 (交替) |
•변압기나 차단기 등의 기기를 다른 것으로 바꾸는 것 例)○○변전소 362kV GIS 대체(→교체)공사 |
이음(異音) |
이상음 (異常音) |
•정상적이 아닌 이상한 (비정상적인) 소리 例)변압기 이음(→이상음) 발생 |
응동(應動) |
동작 (動作) |
•어떠한 원인에 대해 사전에 준비된 대로 동작하는 것 例)보호 계전기 응동(→동작) |
(케이블)행거, Hanger |
(케이블) 받침대 |
•전력구 등에서 케이블을 받쳐 지지하는 것 例)케이블 행거(→받침대) 탈락으로 케이블이 늘어짐 |
핀홀, Pin Hall, 공극(孔隙), 구멍 |
틈새 |
•작은 구멍이나 틈 例)전계가 집중되는 부분에 새로운 핀홀(→틈새) 생성 |
소손(燒損), 절손(切損), 오손(汚損) |
손상 (損傷) |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손상을 입는 것 필요시 ○○(원인)에 의한 손상으로 표기 例)변압기 내부 화재에 의한 1차권선 소손(→손상) |
내용연수 (耐用年數) |
사용연한 |
•철탑, 변압기 등 설비의 회계상 사용가능 한도 例)철탑의 내용연수는(→사용연한은) 30년 |
이면배선 (裏面配線) |
내부배선 |
•배전반 내부의 부품간을 연결하는 배선 例)보호배전반 이면배선(→내부배선) 오류 발견 |
내부소자 (內部素子) |
내부부품 |
•어떤 기기나 장치의 내부부품 例)보호계전기의 내부소자(→내부부품) 불량 |
2. 통일화 용어
현 행 |
통일화(안) |
용어 의미 및 사용 예시 |
(보호계전기) Trip, 기동, 동작 |
(보호계전기) 동작 |
•설비에 고장이 발생하면 보호계전기는 동작하고, 보호계전기가 동작하면 차단기는 차단되며, 차단기가 차단되면 변압기나 송전선로는 정지됨 例)154kV ○○변전소 #1변압기 고장으로 87 계전기가 Trip (→동작)되어 6133 CB Trip(→차단)으로 #1 변압기가 Trip(→정지) 됨 |
(차단기) Trip, 개방, 차단 |
(차단기) 차단 |
|
(변압기,T/L) Trip, 차단, 정지 |
(변압기,T/L) 정지 |
|
공급지장전력, 지장전력, 정전부하 |
정전전력 |
•전력설비 고장으로 발생된 정전전력 例)154kV #2M.Tr 고장 정지시 지장전력 (→정전전력)은 20MW |
고장파급 방지시스템, 부하차단장치, SPS |
고장파급 방지장치, SPS (Special Protection System) |
•계통 고장시 주파수나 전압불안정에 의한 대정전을 방지하기 위해 일부 발전기나 부하를 차단하는 장치 例)부하차단장치(→고장파급방지장치) 동작으로 수도권 부하차단 |
단락용량 (短絡容量), 고장용량 (故障容量), 고장전류 (故障電流) |
고장전류 |
•전력계통의 한 지점에 고장이 발생했을 때, 그 지점으로 유입되는 전력 또는 전류의 크기 例)단락용량이(→고장전류가) 큰 개소 차단기 용량 증대 |
낙뢰, 낙뇌, 뇌격, 번개, 뇌, 벼락 |
낙뢰 |
例)154kV ○○T/L 뇌격(→낙뢰) 고장 발생 |
(송전철탑) No.00, #00 |
00호 |
•철탑 기별 번호 例)765kV ○○T/L No.16 ~ No.20(→16호 ~20호) |
아킹혼, 아크혼, Arcing Horn |
아킹혼 |
例)낙뢰에 의한 Flash Over(→섬락) 발생으로 애자파손 방지를 위해 아크혼(→아킹혼) 설치 |
섬락, 플래시오버, Flash over |
섬락 (閃絡) |
|
스페샤, Spacer, 스페이셔, 스페이서 |
스페이서 |
•선로 중간에서 전선 상호간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자재 例)345kV 선로 4도체용 스페샤(→스페이서) 불량 |
직거래선로, 선방선로, 수용가선로 |
고객선로 |
•공용송전망이 아닌 특정 고객만 사용하는 선로 例)직거래선로(→고객선로)는 재폐로 (→자동투입) 장치 미 운전 |
갤러핑, 갤로핑, Galloping |
갤러핑 |
•비대칭으로 얼음이 부착된 전선이 바람에 의해 날리는 현상 例)갤로핑(→갤러핑) 방지를 위해 相간 스페이서 설치 |
담파, 댐퍼, Damper |
댐퍼 |
•가공선로 양단에 취부되어 진동을 억제하는 자재 例)가공선로의 진동방지를 위해 담파(→댐퍼) 설치 |
씨스, 시스, Sheath |
시스 |
•케이블보호와 전기적 차폐를 위해 도체 및 절연체를 감싸고 있는 외피 例)지중케이블 씨스(→시스) 유기전압 대책 필요 |
(스위치야드) S/Y, Sw.Y, SWYD |
S/Y (Switch Yard) |
•발전소 구내의 송변전설비가 집합된 장소 例)발전소 스위치야드, Sw.Y(→S/Y) |
Bus Tie CB, 부스타이 차단기 |
모선연결 차단기 |
•이중 모선에서 모선 상호간을 연결하는 차단기 例)154kV #1모선 고장시 해당모선에서 공급되는 전 Feeder용 CB와 Bus Tie CB (→모선연결차단기)가 차단되어 고장구간을 분리함 |
Sec. CB, 섹션차단기 |
모선구분 차단기 |
•모선을 여러 개로 분할할 때 이들을 구분하는 차단기 例)#1M.Tr 고장시는 Sec. CB(→모선구분차단기)를 투입하여 #2M.Tr로 부하절체(→부하전환) 공급 |
Bank, 뱅크, 조(組) |
Bank |
•통상의 교류 3상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최소단위의 변압기 조합 例)765kV 변압기 1뱅크(→Bank)는 단상 3대로 구성됨 |
Bay, 베이, 군(群) |
Bay |
•송전선로 또는 변압기 연결을 위해 필요한 차단기, 단로기 등 일련의 기기 조합 例)345kV GIS(가스절연개폐장치) 6베이(→Bay) |
붓싱, 부싱, Bushing |
부싱 |
•차단기 등의 본체와 외부도체를 연결하는 절연체 例)GIS(가스절연개폐장치) 붓싱(→부싱) 파손 |
써어지, Surge, 써지, 서지 |
써지 |
•낙뢰나 차단기 개폐시 등에 발생하는 이상 전압 例)차단기 투입 개방시 개폐써어지(→써지) 발생 |
OT, 절연유 |
절연유 |
•변압기 내부 등의 절연을 위해 사용되는 기름 例)변압기 외부에 OT(→절연유) 분출 |
Spec, 규격서, 시방서, 사양서 |
규격서 |
•기기가 갖추어야할 성능, 크기 등을 정한 문서 例)제작사 사양서(→규격서)에 정격전압 명시 |
정전콘덴서, 스타콘 (Static Condenser) |
병렬캐패시터, Sh.C (Shunt Capacitor) |
•부하단 역률개선 및 전압보상을 위해 부하와 병렬로 운전되도록 설치된 전압보상설비 例)중부하시에는 스타콘(→병렬캐패시터) 운전 |
분로리액터, 션트리액터 (Shunt Reactor) |
병렬리액터, Sh.R (Shunt Reactor) |
•경부하시 등 계통전압 과도상승방지를 위해 부하와 병렬로 운전되도록 설치된 전압상승 억제설비 例)경부하시에는 분로리액터(→병렬리액터) 운전 |
직렬캐패시터, S.C (Series Capacitor) |
직렬캐패시터, SC (Series Capacitor) |
•선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선로의 임피던스를 줄여 계통특성을 개선하는 장치 例)장거리선로에 직렬캐패시터 설치 필요 |
직렬리액터 (Series Reactor), 한류리액터 |
전류제한 리액터, LCR (Limiting Current Reactor) |
•선로에 직렬로 연결되어 고장전류를 제한하는 장치 例)345kV 해북T/L에 직렬리액터(→전류제한리액터) 설치 운영 중 |
휴먼에러, 인적실수 |
인적실수 |
例)휴먼에러(→인적실수)에 의한 대규모 정전 발생 |
3. 추천 용어
현 행 |
추천용어 |
현 행 |
추천용어 |
MW, 만kW |
만kW |
보호계전기, Ry, Relay |
보호계전기 |
S/S, 변전소 |
변전소 |
UFR, 저주파수계전기 |
저주파수계전기 |
T/L, 송전선로 |
송전선로 |
F/R, 고장기록장치 |
고장기록장치 |
D/L, 배전선로 |
배전선로 |
스카다, SCADA, 원방감시 제어시스템 |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
모선, BUS, 부스 |
모선 |
C/H, 케이블헤드, Cable Head |
지중선가공 연결부 |
GIB, 가스절연모선 |
가스절연모선 |
GIS, 지리정보시스템 |
지리정보시스템 |
GIS, 가스절연 개폐장치 |
가스절연 개폐장치 |
Cycle, 싸이클 |
Cycle |
CB, 차단기, 개폐기 |
차단기 |
N/P, 원자력발전소 |
원자력발전소 |
DS, 단로기, LS, 선로개폐기 |
단로기 |
T/P, 화력발전소 |
화력발전소 |
ES, 접지개폐기, 접지스위치 |
접지개폐기 |
C/C, 복합화력 |
복합화력발전소 |
피뢰기, LA |
피뢰기 |
S/T, 스팀터빈 |
스팀터빈 |
M.Tr, 주변압기, 변압기 |
변압기 |
G/T, 가스터빈 |
가스터빈 |
D.Tr, 배전용변압기 |
배전용변압기 |
D/P, 내연발전 |
내연화력발전소 |
S.C, 정전콘덴서 |
전압보상설비 |
OLTC, 부하시전압 조정장치 |
전압조정장치 |
Sh.R, 분로리액터 |
과전압억제설비 |
북상조류 |
수도권 유입전력 |
SVC, STATCOM |
속응전압 제어설비 |
급전조작 (給電操作), 휴전조작 (休電操作) |
계통조작 |
4. 주요단위 및 영문표기 기준
□ 단위표기 기준
구 분 |
단위명칭
|
표준 단위
|
잘못 쓰는 예
|
|
기본단위 |
응용단위 |
|||
길 이 |
미 터 |
m |
μm, mm, cm, km |
MM, CM, KM, Km |
주파수 |
헬 츠 |
Hz |
KHz, MHz, GHz |
KHz |
질 량 |
킬로그램 |
㎏ |
g, μg, mg |
KG, Kg |
동력, 전력 |
와 트 |
W |
kW, MW |
KW, Kw, kw, Mw |
전력량 |
와트시 |
Wh |
kWh, MWh, GWh |
KWH, MWH, GWH |
전 류 |
암페어 |
A |
mA, kA |
KA |
전 압 |
볼 트 |
V |
mV, kV, MV |
KV, kv, Mv |
저 항 |
옴 |
Ω |
KΩ, MΩ |
KΩ |
무효전력 |
바 |
var |
kvar, Mvar |
KVAR, Kvar, MVar |
피상전력 |
볼트암페어 |
VA |
kVA, MVA |
KVA |
□ 영문표기 기준
○ 영어단어 : 첫 자만 대문자 이후는 소문자
- POWER → Power / M.TR → M.Tr / SH.R → Sh.R
- GIS GAS → GIS Gas / BANK → Bank / BUS → Bus
○ 영문약어 : 모두 대문자
- Scada → SCADA / Svc → SVC
Ⅱ. 기타 참고용어
1. 표준 급전 용어
급전지시 상황 |
표준어의 형태 |
비 고 |
차단기, 단로기의 투입(close) |
“00발(변)전소 차단기(또는 단로기)0000 투입하십시오” |
“넣으시오” “살리시요“ |
차단기, 단로기의 차단(open) |
“00발(변)전소 차단기(또는 단로기)0000 개방하십시오” |
“빼시오“ “끄시오” “끊으세요“ “짜르세요!” |
송전선, 변압기의 가압 |
“000kV 차단기0000을 투입하여 00#1(2)T/L을 가압하십시오” “000변전소 #0 M.Tr(주변압기) 가압하십시오.” |
“넣으시오” “살리세요” |
송전선, 변압기의 차단1) |
“000kV 00#1(2)T/L을 차단하십시오” “000변전소 #0 M.Tr(주변압기)차단하십시오.” |
“끊으세요” “빼시오” “끄시오” “짜르세요” |
강행송전2) |
“000kV 차단기0000을 투입하여 00#1(2)T/L을 강행송전 하십시오” |
“강송하세요!” |
보호계전기 조작 |
“000변전소 00보호계전기를 복귀 시키세요” |
리셋하세요! |
부하절체3) |
“00변전소 00부하를 00측으로 절체하십시오” |
“넘기세요” “옮기세요!” |
모선연계 또는 분리 |
“00변전소(발전소) #0모선을 #0모선과 연계하십시오” “00변전소(발전소) #0모선과 #0모선을 분리하십시오” |
“연결하시오” |
조상설비의 조작 |
“00변전소 콘덴서1)를 투입하십시오” “00변전소 리액터를 투입하십시오” |
SC, 스타콘 (Static condenser) SR, 리액터 (Shunt Reactor)
“넣으시오” “살리시요” “빼시요” “끄시요” |
“00변전소 콘덴서를 차단하십시오” “00변전소 리액터를 차단하십시오” |
||
변압기 탭조정 |
“00변전소 #0변압기 탭을 00번으로 조정 하십시오!”(내리세요, 올리세요) |
|
부하차단 (load Shedding) |
“00변전소 부하 00만kW를 차단하십시오” |
“끊으세요” |
기타 |
“CB” ⇒ “차단기” “Bus” ⇒ “모선” “바르(var) ⇒ ”무효전력” “S.C(스타콘)” ⇒ “콘덴서” “나갔어요” ⇒ “정전됐어요” |
|
4) 순화용어 p○참
조
[ 사용 예시 ]
[송전선로의 휴전] |
||
중앙급전소, 급전(분)소 |
급전(분)소, 변전소 |
비 고 |
○AA변전소! BB변전소! (동시호출)
○중앙급전소 홍길동입니다!
-지금부터 000kV XXT/L을 휴전조작 하겠습니다.
-BB변전소부터 조작하겠습니다 BB변전소 차단기 02번 개방하십시오!
○확인 되었습니다. 다음은 AA변전소 차단기 01번 개방하십시오!
|
○네, AA변전소 박문수입니다. ○네, BB변전소 김철수입니다.
○BB변전소 차단기 02번 개방하겠습니다! : -BB변전소 차단기 02번 개방했습니다.
○AA변전소 차단기 01번 개방하였습니다! : -AA변전소 차단기 01번 개방했습니다. |
지시사례 “빼시요” “끄시요” “짜르시요” “끊으세요”
|
○확인 되었습니다. AA변전소, BB변전소 각각XXT/L과 관련된 단로기를 개방 하시고 연락하십시오!
(필요시 변전소별 1조작 1지시)
○중앙급전소 홍길동입니다.
○BB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투입하십시오!
○AA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투입하십시오!
○000kV XXT/L 휴전조작 완료 하였습니다. -수고하셨습니다.
|
○BB변전소 단로기 개방조작 하겠습니다.
○AA변전소 단로기 개방조작하겠습니다.
(각 변전소⇒중앙급전 호출) :
○BB변전소 XXT/L과 관련된 단로기 개방조작 완료했습니다.
○AA변전소 XXT/L과 관련된 단로기 개방조작 완료했습니다.
○BB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 투입되었습니다.
○AA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 투입되었습니다. |
|
[송전선로의 가압] |
||
중앙급전소, 급전(분)소 |
급전(분)소, 변전소 |
비 고 |
○AA변전소! BB변전소! (동시호출)
○중앙급전소 홍길동입니다!
-지금부터 000kV XXT/L을 가압조작 하겠습니다.
-AA변전소부터 조작하겠습니다. AA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 개방하십시오!
○확인되었습니다. 다음은 BB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 개방하십시오!
○AA변전소, BB변전소 각각XXT/L과 관련된 단로기만 투입하시고 연락하십시오! 차단기는 투입하지 마십시오!
|
○네, AA변전소 박문수입니다. ○네, BB변전소 김철수입니다.
○AA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개방하겠습니다! : -AA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 개방했습니다.
○BB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개방하겠습니다! : -BB변전소 XXT/L측 접지 단로기(ES)를 개방했습니다.
○AA변전소 단로기 투입조작 하겠습니다.
○BB변전소 단로기 투입조작 하겠습니다. |
지시사례 “넣으시요!” “살리시오”
|
○중앙급전소 홍길동입니다.
-지금부터 000kV XXT/L을 가압하겠습니다.
-AA변전소부터 조작하겠습니다. AA변전소 차단기 01번 투입하십시오!
○확인 되었습니다. 다음은 BB변전소 차단기 02번 투입하십시오!
○확인되었습니다. -조류 표시상태 이상 없습니까?
○이것으로 000kV XXT/L 가압조작 완료했습니다. -가압시간은 00시00분입니다. |
(각 변전소⇒중앙급전 호출) : ○AA변전소 XXT/L과 관련된 단로기 투입조작 완료했습니다.
○BB변전소 XXT/L과 관련된 단로기 투입조작 완료했습니다.
○AA변전소 차단기 01번 투입하겠습니다! : -AA변전소 차단기 01번 투입했습니다.
○BB변전소 차단기 02번 투입하겠습니다! : -BB변전소 차단기 02번 투입했습니다.
○AA변전소 이상 없습니다. ○BB변전소 이상 없습니다.
|
|
2. 배전분야 순화용어
현 행 |
순화(안) |
용어 의미 및 용례 |
가섭선 (架涉線) |
공중선 (空中線) |
•전선, 가공지선, 통신선 등 지지물에 가선되는 선류(線類)를 총칭하는 것 例)지지물의 간격은 지지물의 강도, 가섭선(→공중선)의 지상고, 부하밀도 및 현장여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
조가선 (助架線) |
보조선 (補助線) |
•케이블 등을 매달기 위해 설치하는 선 例)저압가공케이블은 인장하중이 2,000kg 이상의 조가선(→보조선)에 설치한다. |
지선(支線) |
버팀선 |
•전주가 전선의 장력(張力)이나 바람에 넘어가지 않도록 땅 위로 비스듬히 버티어 세운 선 例)지지물의 위치 선정시 지선(→버팀선)의 설치가 용이한 장소를 선정한다. |
가공지선 (架空地線) |
낙뢰차폐선 (落雷遮蔽線) |
•전선에 뇌가 직접 떨어지지 않도록 전선 위에 나란히 가설하여 접지한 선 例)배전선로에는 가공지선(→낙뢰차폐선) 설치를 원칙으로 한다. |
건주(建柱) /건주하다 |
(전주) 설치 /(전주를) 세우다 |
•지지물을 세우는 것 例)전주의 건주(→설치), 철거, 기타 공사를 끝낸 장소는 완전히 메운다./전주는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수직으로 건주한다(→세운다). |
계주(繼柱) |
이음전주 |
•하나의 전주로 필요한 지상높이를 얻기 어려운 경우2개 이상의 전주를 연결하여 설치하는 전주 例)계주(→이음전주)에는 계주(→이음전주)용 강판주를 사용한다. |
지주(支柱) |
버팀전주 |
•전주가 쓰러지지 아니하도록 버티어 괴는 전주 例)지주(→버팀전주)에는 발판볼트를 설치하지 않는다. |
승주(昇柱) 하다 |
(전주에) 오르다 |
例)발판볼트를 돌려서 확인하며 승주한다. (→전주에 오른다). |
거치(据置) |
설치, 고정 |
•기기 등을 전주상이나 지상에 설치, 고정하는 것 例)접착제를 도포후 상부블럭을 하부블럭 접합부에 일체가 되도록 거치(→설치)한다. |
취부(取付) |
부착, 설치 |
•붙임, 달기 例)맨홀 내 케이블에는 선로표시찰을 취부(→부착)한다. 절연전선 접속개소에는 절연커버를 취부(→설치)하여 접속개소가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
타설(打設) 하다 |
시설하다, (콘크리트 등을) 치다 |
•쳐서 시설하는 것 例)접지공사는 맨홀시공시 2개소에 접지동봉을 타설하고(→시설하고) 터파기 완료 후 바닥에 잡석을 다지고 콘크리트를 타설한다(친다). |
포설(布設) 하다 |
시설하다, (관로 등을) 펴다, (모래 등을) 깔다 |
•펴서 시설하는 것 例)관의 포설과(→관 펴기와 또는 관의 시설과) 접속이 완료되면 시험을 시행한다./터파기 완료후 바닥에 잡석을 다진 후 모래를 포설하여(→깔아) 수평을 조절한다. |
공가(共架) |
공동가선 (共同架線) |
•가공전선과 가공약전류전선, 가공광섬유케이블 등(전력보안통신용 약전류전선 제외)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것 例)공가(→공동가선)설비․기기장치 설치가 예상되는 선로에는 장래의 설비를 고려하여 전주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
병가(竝架) |
병행가선 (竝行架線) |
•2회선 이상의 가공전선 또는 전압이 상이한 가공전선 및 그 부속물 등을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것을 말한다. 例)서로 다른 전압선을 병가(→병행가선)할 때에는 높은 전압선을 상단으로 한다. |
첨가(添架) |
첨가가선 (添加架線) |
•가공전선로의 지지물에 전력보안 통신선 및 그 부속물을 가설하는 것을 말한다. 例)변대주에 첨가(→첨가가선)시 전력보안 통신선의 위치는 주상변압기의 하부로 한다. |
공극(孔隙) |
틈 (틈새) |
•작은 구멍이나 빈틈 例)컴파운드는 강심과 알루미늄 사이의 공극(→틈새)에 수분침투로 인한 산화와 동파를 방지한다. |
근가(根枷) |
버팀대 |
•콘크리트 전주 또는 지선의 기초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지표면 하부에 설치하는 고정용 블럭 例)논이나 그 밖의 지반이 연약한 곳에서는 견고한 근가를(→버팀대를) 시설한다. |
근개(根開) |
아랫간격 |
•H형 전주의 각 전주 또는 지선, 지주 등과 전주의 매입지점간 지표면상 수평거리 例)H형 전주의 근개(→아랫간격)는 전주 상부간격에 전주 끝지름의 4배를 가산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
근입(根入) |
밑둥넣기, 밑둥묻힘 (밑둥묻힘 깊이) |
•전력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물의 밑둥을 묻는 행위 또는 그 묻는 깊이 例)전주 근입(→밑둥넣기) 후 되메우기 할 때에는 매 30㎝마다 충분히 다지면서 지표면까지 복구한다. 지반이 연약하여 기초강도가 부족할 때는 전주의 근입(→밑둥묻힘 깊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
긍장(亘長) |
선로길이 |
•지지물 사이에 가설된 전선의 지지점간의 수평길이 例)선로경과지는 선로긍장(→선로길이) 및 전압강하 등이 최소화되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
연장(延長) |
전체길이 |
•선로 각 상의 전선 길이를 일괄하였을 때의 전체 길이 例)l은 동일모선에 접속된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 선로의 전선 연장을(→전체길이를) 나타낸다. |
실장(實長) |
실제길이 |
•이도를 고려한 각 지지물 경간의 실제 전선길이 例)전선의 실장(→실제길이)는 해당 경간 및 장력을 적용하여 산출한다. |
이도(弛度) |
처짐 (처짐정도) |
•온도변화로 인한 전선길이의 증감에 대비하기 위해, 전선의 지지점을 연결하는 수평선으로부터 약간 밑으로 처지게 하는 것 例)강, 하천 및 계곡 등 횡단개소는 지지물의 강도, 전선의 이도(→처짐 정도) 등에 대한 검토를 거친 후 특수공법을 적용하여 설계 시공할 수 있다. |
내장(耐張) |
장력견딤 |
•전선의 장력을 지지함 例)특고압 배전선의 내장(→장력견딤) 개소에서 분기하는 경우에는 전원측 또는 부하측 중 어느 한쪽에서 분기접속을 하여야 한다. |
인류(引留), 데드엔드 (Dead-end) /인류하다 |
한쪽당김 /당기다 |
•전선로의 끝 또는 전선의 끝에서 가선 전체를 잡아당기는 것 例)도심지의 인류(→한쪽당김)주에는 피뢰기를 생략할 수 있다./가공 알루미늄 배전선의 장력견딤 개소에는 데드엔드(→한쪽당김) 클램프를 사용한다./케이블 보조선은 양쪽의 지지물에 견고하게 인류하여(→당겨) 시설한다. |
말구(末口) /말구경 (末口徑) |
윗둥 /끝지름 |
•전주의 위쪽 끝 부분/그 부분의 지름 例)전선지지대는 전주 말구로부터(→윗둥으로부터) 25cm의 위치에 설치한다./H형 전주의 아랫간격은 전주의 상부 간격에 전주 말구경(→끝지름)의 4배를 가산한 것을 표준으로 한다. |
원구(元口) /원구경 (元口徑) |
밑둥 /밑지름 |
•전주의 아래쪽(굵은 쪽) 끝 부분/그 부분의 지름 例)이때 타격점은 각 규격별로 원구(→밑둥)에서 윗둥까지 20개소로 한다./16m 일반용 콘크리트주의 원구경(→밑지름)은 403mm이다. |
속류(續流) |
후속전류 (後續電流) |
•피뢰기에서 충격방전 종료 후 뒤이어 전력시스템으로부터 피뢰기에 흐르는 상용주파전류 例)피뢰기에 정격전압 이상의 전압이 걸리게 되면 피뢰기는 속류(→후속전류)를 차단할 수 없다. |
한류(限流) |
전류제한 (電流制限) |
•전류를 설정한 최대값으로 제한하는 것 例)한류(→전류제한)형 차단기는 차단기와 그 차단기에 결합되는 한류(→전류제한)기로 구성된다. |
인가(印加) 하다 |
(전압 등을) 걸다, 공급하다 |
•(전압을) 가하여 거는 것 例)두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걸리는) 전압을 측정한다. |
연선(撚線) |
꼬임선 |
•단선을 꼬아 합친 것 例)버팀선에는 소요 강도에 따라 적정 종류 및 굵기의 금속선 또는 그 연선(→꼬임선)을 사용한다. |
연선(延線) |
(선)펴기 |
•완철의 애자지점에 활차를 가까이 붙이고 늘어놓은 조가선을 엔진으로 감아 끌어당기는 것 例)경간수가 과다할 때에는 전선 1조의 길이를 고려하여 직접 선로중간에서 연선을(→선펴기를) 할 수 있다. |
완철(腕鐵), 암(Arm) |
전선지지대 (電線支持臺) |
•가공선로를 지지하기 위해 전주에 설치하여 전선을 가설할 수 있게 만든 구조물 例)완철(→전선지지대)은 전주를 중심으로 부하측에 설치한다. |
자기융착 (自己融着) |
자체융합 (自體融合) |
•스스로 융합하여 접속되는 것 例)케이블 종단 절연시에는 자기융착(→자체융합) 절연테이프를 사용한다. |
미소외란 (微小外亂) |
미세외부교란 (微細外部 攪亂) |
•상당히 작은 수준의 외부 교란신호 例)고조파, 플리커 등과 같은 순간적인 미소외란(→미세외부교란)이 전계통의 품질을 악화시키고 있다. |
잠동(潛動) |
오작동 |
•적산계기의 회전자가 무부하상태에서 전압만으로 회전하는 현상 例)지시형 전력량계는 잠동(→오작동)을 해서는 안된다. |
지상(遲相) |
뒤진 위상 |
•한 신호의 위상이 다른 신호의 위상보다 뒤쳐지는 것 例)인덕턴스 성분이 더 우세할 때 지상(→뒤진 위상) 회로가 된다. |
진상(進]相) |
앞선 위상 |
•한 신호의 위상이 다른 신호의 위상보다 앞서는 것 例)콘덴서에 부분 또는 일괄 개폐장치 등을 설치하여 진상(→앞선 위상) 역률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혼촉(混觸) |
잘못 접촉 |
•혼선 또는 접촉되는 것 例)애자의 하부가 전선과 혼촉(→잘못 접촉)되지 않도록한다. |
장주(裝柱) |
전주설비 / (선로)배열 |
•전봇대(전주)에 부속품을 설비함 例)설계도면 작성시 필요할 경우 장주도(→전주 설비도)를 별도로 작성하여 첨부한다. 例)배전선로를 건설할 때에는 주위의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특히 도시지역 또는 특수지역의 전주에는 특수 미화장주(→미화 전주설비)를 할 수 있다. 例)서로 다른 전압선을 동일 지지물에 병행 가선할 때 장주(→선로배열) 순위는 높은 전압선을 상단으로 한다. 例)수직장주(→배열)에서 저압선로의 상(相) 구분은 위에서부터 순서대로 N, A, B, C상 순으로 결정한다. |
3. 자주 쓰는 용어 풀이
가. 전기관련 일반용어
□ 전압 (電壓, Voltage)
전기를 보내는 힘을 말하고(흔히 水壓에 비유), 몇 가지 표준전압을 사용함. 단위로는 V(볼트), kV(킬로볼트)를 씀
○送電電壓의 種類 : 765kV - 345kV - 154kV - 66kV
○配電電壓의 種類 : 22.9kV - 220/380V
□ 전류 (電流, Current)
전기를 보내는 양을 말함(흔히 水量에 비유). 단위로는 A, kA를 사용함
□ 직류와 교류 (直流, Direct Current와 交流, Alternating Current)
○직류(DC) : 전압, 전류의 방향이 항상 일정한 것 (예 : 배터리)
○교류(AC) : 발전기의 회전에 따라 전압,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 (예 : 가정용 전기)
□ 주파수 (周波數, Frequency)
1초 동안에 전압 방향이 바뀌는 횟수로, 우리나라는 60Hz(헤르쯔)를 씀
□ 전력과 전력량 (電力 Electric Power, 電力量 )
○전력 : 발전 또는 사용한 전기의 크기. 단위는 W, kW, MW로 표시
○전력량 : 일정시간동안 공급 또는 사용한 전력을 누적한 양으로,
공급된 전력과 공급시간을 곱한 값임. 단위는 Wh, kWh, MWh가 쓰임
□ 부하 (負荷, Load)
전등, 전열기, 전동기 등 전기를 소모하는 기계, 기구
□ 부하율 (負荷率, Load Factor)
최대전력에 대한 평균전력의 비율 (=평균전력/최대전력)로 클수록 설비 이용율 이 높아지며, 우리나라는 현재 74% 수준으로 높은 편임
○ 평균전력 : 어느 일정기간 동안 사용한 전력의 평균치
○ 최대전력 : 어느 기간 중 負荷가 가장 많이 걸렸을 때의 전력
나. 전력계통 관련용어
□ 전력계통 (電力系統, Electrical Power System)
전기를 생산하여 고객에게 공급하는데 관련된 일련의 설비, 즉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설비, 전력을 수송하는 송변전설비, 고객에게 전기를 배분하는 배전설비 등 이 유기적으로 결합된 전체 시스템
유통과정 : 발전소 → 송전선로 → 변전소 → 배전선로 → 고객
□ 계통제약 (系統制約, Power System Constraint)
경제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가격이 싼 발전기부터 운전해야 하나 광 역정전 예방, 공급설비의 과중한 운전 방지 등 전력계통의 안정운영을 위해 불 가피하게 비싼 발전기를 먼저 가동해야하는 상황
□ 환상망계통과 방사상 계통
○환상망 계통 (環狀網 系統, Loop System)
발전소와 변전소간 또는 변전소 상호간 연결 송전선로를 環形(Ring)으로 구성 하여 한쪽이 고장나도 우회공급이 가능하여 정전이 없도록 한 계통
○방사상 계통 (放射狀 系統, Radial System)
환형을 이루지 않고 1개 루트로만 구성되어 루트고장시 정전이 불가피한 계통 으로 비교적 중요도가 낮은 곳에 적용하고 있음
□ 수급조정 (需給調整, Demand &Supply Control)
장기적으로는 장래에 예상되는 전력수요에 적정한 예비율을 유지하며 공급이 가능하도록 전력공급설비를 확보하는 것을 말하며, 단기적으로는 매 순간 수시 로 변하는 전력수요에 맞도록 전력공급량을 적절히 조정하는 것을 말함
○예비율 (豫備率, Reserve Ratio)
예비율= (최대전력/최대수요)× 100(%)
□ 계통계획․운영 (系統計劃․ 運營, System Planning &Operation)
계통계획이란 안정적인 전력을 경제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설비에 대한 장․단기 투자계획을 말하고, 계통운영이란 고객에게 고품질 (규정전압 유지, 규정주파수 유지, 정전감소)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존의 전력설비가 효 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상시 감시 또는 조작하는 일련의 활동을 말함
○휴전작업(休電作業)
발전기, 송전선로, 변압기 등 전력공급 설비의 추가 설치 또는 기존설비의 성 능 개선을 위해 해당구간을 정전시켜놓고 시행하는 작업
○가압(加壓) : 변압기, 송전선로 등 전력공급용 설비 또는 負荷 등에전기를 인 가하는 것
○차단(遮斷) : 전력설비 또는 부하에 전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분리하는 것
다. 송변전 설비 관련용어
□ 가공송전선로 (架空送電線路, Overhead Transmission Line)
공중에 철탑 등의 지지물을 이용 설치되는 송전선로로 외피가 없는 알루미늄 裸線으로 되어있음
□ 가공지선 (架空地線, Ground Wire)
낙뢰로부터 송전선로를 보호하기 위해 가공송전선로 상부에 설치되는 1~2개의 전선을 말함. 이는 건물의 피뢰침과 같은 역할을 하며, 가공지선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에 통신용 광섬유케이블을 넣은 OPGW가 많이 쓰임
※ OPGW (Optical Fiber Composite Overhead Ground Wire, 광섬유복합가공지선)
□ 철탑 (鐵塔, Tower)
송전선로를 수목 등으로부터 이격시켜 지지하기 위한 대표적인 송전용 지지물 로 보통 300~400m 간격으로 설치됨
□ 애자 (碍子, Insulator)
고압전선을 지지물(철탑 등)에 누전 없이 연결하는데 쓰는 자재로 자기, 유리 등의 재질로 되어 있음
□ 회선 (回線)과 루트 (Route)
○회선 : 송전선은 3가닥이 1조가 되어 전력을 수송하는데, 3가닥 1조단위의 전 선을 1회선이라 부름
○루트 : 동일 경과지를 통과하는 전선 전체를 1루트라 부르며, 1루트는 대개 2 회선(6가닥)으로 구성됨
○C-km (回線亘長, Circuit Kilometer)
통상 송전선로 길이의 단위로 쓰이며, 1회선(3가닥)의 길이를 말함
□ 선하지 (線下地, Site Under Electric Wire)
상공에 고압전선이 가설되어 있는 전선 아래의 토지로 그 사용을 위하여 지상 권 또는 임차권을 설정함
□ 변전소 (變電所, Substation)
전력을 수송 또는 사용에 적합한 전압으로 바꾸는 변압기 및 관련기기 설치장 소로, 형태에 따라 옥외철구형, 옥내․외 GIS형, 복합변전소 등으로 구분됨
○ GIS (Gas Insulated Switch Gear, 가스절연개폐장치)
모선 및 차단기 등 변전설비를 밀봉된 금속제 함에 넣고 절연성능이 우수한 SF6 가스를 봉입한 것으로 기존의 옥외철구형 변전소에 비해 소요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신뢰도가 높아 최근에 많이 적용되고 있음
※ 송전선로 경과지 선정 시 등에 이용되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지리정보시스템)와는 다름
○복합변전소
도심지내 변전소건설 부지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하나의 건물내에 업 무용 사무실 또는 주거용 시설 등과 함께 건설하는 변전소
□ 변압기 (變壓器, Transformer)
전력을 원격지까지 수송하기 위해 낮은 전압으로 발전된 전기를 높은 전압으로 바꾸거나(발전소용 변압기), 높은 전압으로 수송되어온 전기를 고객이 사용하 기 용이하도록 낮은 전압으로 바꾸는 機器로 보통 M.Tr이라 줄여 쓰기도 함
□ 모선 (母線, Bus)
변전소 등에서 여러 개의 송전선로 및 변전기기가 연결되는 부분
□ 차단기 (遮斷器, Circuit Breaker)
가정의 누전차단기와 같이 송전선로, 변압기 등 전력공급설비의 전기 흐름을 분리 또는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開閉장치
□ 보호계전기 (保護繼電器, Protective Relay)
송전선로, 변압기 등 설비에 고장 발생시 고장상황을 검출하여 경보하거나, 고 장을 제거하도록 차단기에 신호를 보내주는 장치
□ FACTS (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 柔軟送電시스템)
교류 송전계통에서 보다 많은 전력을 전송하거나 주요 송전선로 고장시에도 전 력계통 전압을 조기에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효과가 있는 비교적 최신의 송전 유연화 설비로 우리 계통에는 SVC와 UPFC가 각각 1대씩 운영중임
○SVC (Static Var Compensator) : 속응 전압제어설비
○UPFC (Unified Power Flow Controller) : 종합전력조류제어기
○전력조류 (電力潮流, Electric Power Flow)
발전소와 변전소간 또는 변전소 상호간에 유통되는 전력의 흐름
○有效電力과 無效電力
자동차가 움직이려면 휘발유가 필요한 것과 같이 전력부하가 구동되려면 유효 전력이 공급되어야 함. 반면에 자동차의 윤활유처럼 직접 부하를 구동하지는 않지만 전력유통 과정에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것이 무효전력이며 매년 부하 증 가에 맞추어 적정량의 무효전력 공급설비가 설치되고 있음
□ 스위치야드 (Switch Yard)
변전소 및 발전소의 변압기, 차단기, 모선 등이 설치된 옥외 장소
□ HVDC (High Voltage Direct Current, 직류송전)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송전하는 시스템으로 장거리 지중(해저)송전에 유리함 (국내에는 유일하게 육지-제주간에 HVDC 시스템이 운용중임)
□ 송전접속비용(Transmission Connection Cost)
이용자가 자신의 전기설비를 송전용전기설비(한전소유)에 접속할 때 발생되는 접속설비의 건설에 소요되는 비용을 말함
○접속설비 : 송전용전기설비와 이용자측 전기설비(발전 및 수요 고객 소유) 사 이의 전력 送 ․受電을 위해 필요한 전기설비 및 장치
□ 전원개발사업 실시계획 승인 (전촉승인)
송전선로 또는 변전소를 건설하기 위하여 “전원개발촉진법”에 의거 정부로부 터 받는 사업승인
□ S/S와 T/L
○S/S : Substation의 약어로 변전소를 나타내며, 154kV 삼성S/S」와 같이 쓰임
○ T/L : Transmission Line의 약어로 송전선로를 나타냄. 「765kV 신서산T/L」, 「345kV 양주T/L」등으로 쓰임
□ CBP (Cost based Pool, 원가반영시장)
발전연료비 원가보상을 근간으로 하는 시장으로 현재의 전력시장
□ TWBP (Two Way Bidding Pool, 양방향입찰시장)
발전 뿐 만아니라 수요측도 입찰하는 양방향 입찰시장
라. 정보통신 관련용어
□ EMS (Energy Management System, 에너지관리 시스템)
발전소의 발전량을 조절하기위해 각 발전소 및 주요 변전소의 운전상황을 한 곳에서 감시하는 시스템
□ SCADA (Supervisory Control &Data Acquisition, 원격감시제어)
여러 곳에 산재한 송변전 설비를 한곳에서 집중 감시 관리하는 시스템
□ PLC (Power Line Communication, 전력선 통신)
전기를 수송하는 전력선에 음성이나 각종 통신신호를 함께 보내는 기술
수용율, 부등율, 부하율 (0) | 2013.11.13 |
---|---|
발전기 관련 정수 및 용어 (0) | 2011.06.29 |
플랜트건축설계(해외설계)에서 쓰는 영어용어 (0) | 2011.04.21 |
플랜트 표준 약어 (0) | 2011.02.17 |
건설용어 (일본어) (0) | 2011.02.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