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와 같이 IEEE 519 - 2014 에서, TDD는 그대로이나, THD 값이 변경되었다.
1kV 미만의 전압에서 8%의 THD 항목이 추가됨.
따라서, 현재 국내 기준이 IEEE와 같은 미국 기준 대비 severe 한 편이다.
◆ 종합고조파 왜형률
(THD:Total Harmonics Distortion)
▶ 다음식에서와 같이 고조파 전압 실효치와 기본파 전압 실효치의
비로서 나타내며 고조파 발생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 IEEE 519
Bus Voltage |
Maximum Individual Harmonic Component(%) |
Maximum THD(%) |
69kV and below 115kV to 161kV Above 161kV |
3.0% 1.5% 1.0% |
5.0% 2.5% 1.5% |
▶ 전기공급규정
- 154kV 이상 1.5%
- 66kV 이하 3%
◆ 등가방해전류
(EDC:Equivalent Disturbing Current)
▶ 전력계통에서 발생한 고조파는 인접해 있는 통신선에 영향을 주며 통신선에
영향을 주는 고조파 전류의 한계를 등가방해전류(EDC)로서 규제하고 있다.
여기서,
: 통신유도계수
: 영상고조파전류
▶ 전기공급규정에서 154kV 지중선로에 대하여 3.8A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 IEEE 519
120V-69000V[%]
SCR=ISC /IL |
<11 |
11<h<17 |
17<h<23 |
23<h<35 |
35<h |
TDD |
<20 20-50 50-100 100-1000 >1000 |
4.0 7.0 10.0 12.0 15.0 |
2.0 3.5 4.5 5.5 7.0 |
1.5 2.5 4.0 5.0 6.0 |
0.6 1.0 1.5 2.0 2.5 |
0.3 0.5 0.7 1.0 1.4 |
5.0 8.0 12.0 15.0 20.0 |
ISC : 단락전류, IL : 부하전류, h : 고조파차수
TDD : Total Demand Distortion
▶ 일본 「 고조파 억제대책 Guide Line 」
수용가 계약전력 1kW당 고조파유도전류 상한치
(mA/kW)
수전 전압 |
5차 |
7차 |
11차 |
13차 |
17차 |
19차 |
23차 |
23차 초과 |
6.6kV |
3.5 |
2.5 |
1.6 |
1.3 |
1.0 |
0.9 |
0.76 |
0.70 |
22kV |
3.5 |
2.5 |
1.6 |
1.3 |
1.0 |
0.9 |
0.76 |
0.70 |
154kV |
3.5 |
2.5 |
1.6 |
1.3 |
1.0 |
0.9 |
0.76 |
0.70 |
고조파 대책 (0) | 2014.02.27 |
---|---|
고조파 영향 (0) | 2014.02.27 |
고조파의 발생 (0) | 2014.02.27 |
고조파의 정의 (0) | 2014.02.27 |
고조파에 의한 과전류 개선사례 (0) | 2014.02.2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