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에서 보면 오른쪽이 난방, 왼쪽이 냉방, AHU를 포함한 위쪽이 공조기기 입니다.
보일러에서 생산된 증기가 감압밸브 스팀해더를 거쳐 AHU안의 난방코일로 가서
난방을 하고 열을 빼앗긴 수증기는 다시 물로 되어 응축수 탱크에 모이고
이 응축수가 다시 보일러로 들어가서 증기가 되는 순환 과정을 거칩니다.
공조기에 사용되는 난방은 증기나 온수가 사용됩니다. 2가지다 장단점이 있는데
감압밸브는 말그대로 스팀 압력을 일정 압력 이하로 감압하는데 사용됩니다.
스팀해더는 그림에서 보신것 처럼 일종의 분배기 입니다.
냉방쪽을 보면 냉동기의 증발기에서 냉매가 물을 냉각시켜서 냉수를 공급하는 구조네요.
냉수 순환펌프에 의해서 냉수가 순환되면서 냉방을 실행하는 것입니다.
냉각수 순환도가 있는걸로 봐서 냉동기에 수냉식응축기가 사용되고 있네요
수냉식 응축기에서 냉매를 응축시키면서 열을 얻어 따뜻해진 물이 냉각탑에서 식혀지는 과정의 냉각수 순환도입니다.
배출되는 공기로 인해 열손실이 존재하지만 실내 공기질을 위해서 일부를 실외로 배출하고 신선한 외기를 도입하는 것이입니다.
방연댐퍼는 말그래도 연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댐퍼입니다. 화재시 화염으로 인한 인명사상보다는 연기에 의한 질식사가 많기 때문에 연기의 확살을 방지하기 위한 댐퍼입니다.
공조설비에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전공기, 수공기, 전수 방식 이렇게 나눠집니다.
전공기 방식은 공기로만, 수-공기방식은 덕트를 통해서 공기도 보내면서 냉,온수도 보내는 방식이고 전수방식은 물만을 보내서 냉,난방하는 방식입니다.
위의 그림에서 보시듯이 AHU에서 부터 덕트를 이용해서 차가운(뜨거운)공기만을 보내서 실내 온도를 제어하는 전공기 방식입니다.
전공기 방식에는 단일덕트방식, 이중덕트방식, 각층유닛방식 이렇게 나눠집니다.
단일덕트는 말그래도 공조기에 혼합된 공기가 한개의 라인으로 나간다는 것이고
각층유닛방식은 중앙집중식과 개별식의 중간쯤으로 보면 됩니다.
각종 변압기 비교 (0) | 2009.05.22 |
---|---|
MOLD 변압기 (0) | 2009.05.22 |
과열기 [過熱器, superheater] (0) | 2009.05.08 |
Pipe와 Tube의 차이점 (0) | 2009.05.08 |
Desuperheater (0) | 2009.05.0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