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동법 | 전전압직입기동 | 감 압 기 동 | |||||||||||
Y-△ 기동 | 콘도르파기동 | 리액터기동 | 1차저항기동 | ||||||||||
개요 | 전동기에 최초로부터 전전압을 인가하여 기동 | 결선으로 운전하는 전동기를 기동할때만 Y결선으로 하여 기동전류, 토오크와 함께 직입의1/3 | V결선의 단권변압기를 사용하여 전동기의 인가전압을 저하시켜 기동 | 전동기의 1차측에 리액터를 넣어서 기동시 전동기의 전압을 리액터 전압강하분만큼 낮추어서 기동 | 리액터기동의 리액터대신 저항기로서 기동하는것 | ||||||||
특징
|
전동기 본래의 큰 가속토오크가 생겨서 가동시간이 단축됨. | 기동전류에 의한 전압강하를 경감시킴. | 탭의 선택에 의하여 시동전류 토오크가 조정됨 | 탭절환에 의한 기동전류, 토오크가 저정됨 | 리액터 기동과 거의같음 | ||||||||
부하를 건 상태에서 기동이 가능함 | 감압시동하는 것 중에는 가장 값이싼 것으로 손쉽게 채용할수 있음 | 기동에서 운전될때 전원의 개방이 되지 않으므로 쇼크가 큼 | 전동기의 회전이 높으며 가속토오크 증가가 현저하여짐 | 리액터기동보다 안정된 가격임 | |||||||||
리액터기동보다 가속토오크 증대가 적음 | |||||||||||||
단점 | 기동전류가 많아서 이상전압 강하의 원인이 됨 | 기동, 가속된 토오크가 적으므로 부하시에는 기동할수 없음 | 가격이 고가임 | 콘도르파 기동 다음으로 가격이 비싸다 | 기동토오크의 감소가 큼 | ||||||||
기동에서 운전시작할 때 전원이 개방되므로 전기적 기기적 쇼크가 있음. 기동전류와 토오크의 조정이 잘 안됨 | 가속토오크가 Y-△ 기동과 같이 적음 | 기동전류에 비하여 시동토크가 감소가 큼 | 상용전동기 용량은 7.5kw이하 | ||||||||||
쿳숀스타트 가능 | |||||||||||||
특성 | 기동전류 | C600~780%, K1600~750% | Is 33.3% | Is 25~42~64% | Is 50~65~80% | Is 50~65~85% | |||||||
K2 500~700% | |||||||||||||
기동토크 | C125%이상 K1 100%이상 K2 150%이상 | Ts 33.3% | Ts 25~42~64% | Ts 25~42~64% | Ts 25~42~64% | ||||||||
가속성 | 가속토오크 최대 기동시의 쇼크 큼 | 토오크의 증가가 적음 | 토오크증가가 다소 적음 | 토오크 증가가 많음 | 토오크 증가가 많음 | ||||||||
최대토크가 적음 | 최대토오크가 다소 적음 | 최대토오크 최대원활한 가속 | 최대토오크 큼 | ||||||||||
원활한 가속 | 원활한 가속 | ||||||||||||
기타 | 전원용량의 허용한도내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한. 가능한 이방법을 채용함이 유리함 | 5.5kw이상의 전동기로 무부하 또는 경부하 기동할수 있는 것 | 기동전류를특히 억제하는 것 | 2승저감 토오크 부하 | 2승 저감토오크 부하 소용량 전동기(7.5kw 이하)에 한함 | ||||||||
감압시동에선 가장 일반적임 공작기계, 크라치부하역기계등 | 대용량의 전동기, 펌프, 송풍기, 원심분리기등 | 팬, 송풍기, 펌프, 방직관계 쿳숀스타트용 | |||||||||||
Thermal Relay 와 EOCR의 비교 (0) | 2009.06.03 |
---|---|
역상계전기 46의 기능과 설치 목적 (0) | 2009.06.03 |
접지의 종류 (0) | 2009.05.29 |
발전기의 진상운전 (0) | 2009.05.29 |
IP(International Protection) 보호 등급 (0) | 2009.05.28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