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Bus Transfer 방식

본문

1)병렬절환(Parallel Transfer) (Close and open)

       동기 조건 하에서 개방된 차단기가 투입되면 Trip Selector Switch

       선택에 따라 수전 중이던 차단기가 자동 개방되는 건전모선 절환

        (Live Bus Transfer) 방식.

        일명 Manual Transfer라고도 하며 절환 순간에 병렬운전 상태가

        되어 절환 중 고장발생시에는 고장 전류의 중첩 등의 문제가

        있으므로 순간적인 무정전 절환이 이루어져야 함.

 

2)순시절환(Fast Transfer) (Open and Close)

       고장 발생 모선으로부터 건전모선으로 순간적으로 절환하는 방식

       이며 양 모선의 동기상태(Voltage amplitude, Frequency, Phase

       angle)를 확인하여 동기 범위 이내인 경우에만 절환되고,

       절환 시간은 보통 10 Cycle 이내 (5~6 Cycle 정도)이므로

       부하전원의 순간상실(Interrupting)은 발생되지 않는다.

 

3)절환(In-phase Transfer)

       순시 절환(Fast Transfer)이 실패했을 때 절환하는 방법.

       동기 상태 조건 중 Frequency 조건을 제외하고 순시 절환보다

       더 제한된 Phase angle 범위 조건을 확인하여 절환시킴.

 

4)저전압 절환(Residual Voltage Transfer)

      순시 절환(Fast Transfer)이 실패했을 때 절환하는 방법이다. 전원

      공급 중인 모선에는 대용량 전동기들이 연결되어 있으며 순시절환이

      실패하여 전원공급이 중단되면 몇 초 동안 전동기는 잔류자기에

      의해서 발전기와 마찬가지로 발전을 하게 되며 모선에는 잔류전압이

      나타나게 된다. 만약 이 순간에 어떠한 방법에 의한 모선절환이 시도

      된다면 전동기의 잔류자기에 의해서 발전된 전압 Vector모선절환

      되어 공급되는 전압 Vector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 경우 모선에 연결된 각종 부하는 결과적으로 과전압을 공급

      받게 되므로 절연파괴의 원인이 되어 발전소 운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순시절환 실패 후 모선의 잔류전압을

      측정하여 규정치 이하일 때 절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이며, 적용하는

      잔류전압은 대게 정격의 30% ~ 50%로 한다.

 

5)시한절환(Slow Transfer)

       일명 Dead Transfer라고도 한다. Fast Transfer Residual Transfer

       모두 실패하였을 경우 소내를 완전히 정전시키고 절환하는 방법

       으로 보일러 및 발전기의 Trip이 불가피하다.

 

 

 

 

Auto Transfer Initiate Signals

  • Trip from Upstream sources
  • Bus undervoltage

Auto Transfer Block Signals

  • CB(Incoming & Bustie) Fault, Test position, Spring Not Charged
  • Dummy Rack-out
  • ES Closed
  • PT MCB OFF
  • Others
궁금한 점이나 함께 토론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면 댓글 또는 방명록에 남겨 주세요 ^^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