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중 송전선로
XLPE와 같은 전력 케이블을 지하에 매설하여 전력을 송전하는 방식으로, 500kV 급 까지 전력케이블이 상업화되어 우리나라는 345kV 급에까지 적용하고 있다.
2. 지중 송전선로 채용이 필요한 이유 (5가지)
- 도시 미관을 중요시 하는 경우
- 부하 밀도가 현저하게 높은 지역에 전력공급을 해야 하는 경우
- 높은 공급신뢰도가 필요한 경우
- 보안상 가공 전선로를 건설할 수 없는 경우
- 도심지 팽창으로 기설 가공선로 존치 곤란한 경우
3. 지중 송전선로의 장점 (8가지)
- 도시 미관상 유리 : 복잡한 송전선로를 지하에 매설하여 미관상 좋고, 자연 환경과의 조화를 이룸
- 공급신뢰도 및 안정성 향상 : 낙뢰, 자연재해 등 외부 영향이 적기 때문에 고장 가능성이 낮음
- 대용량 전력공급이 가능함 : 동일 전력구 내에 다회선 (9회선 이상 가능) 시설 (가공선로는 동일 루트 내 4회선 정도로 제한됨)
- 설비의 보안 유리 : 지하 전력구내에 설비가 있어 보안에 유리
- 감전에 대한 안정성 : 충전부가 절연으로 감전 위험이 경감 (시스 유기전압은 주의)
- 유도장해가 경감됨 : 차폐 케이블을 사용하므로 유도장해가 경감됨
- 유지보수 업무의 경감 : 고장발생 빈도가 크지 않으며 유지보수 설비의 고도화로 업무가 단순해짐
- 기타 경과지 확보에 유리하고, 민원 발생이 적은 점이 장점이다.
4. 지중 송전선로의 단점 (4가지)
- 건설비가 고가 : 전력구 시설을 위한 토목, 건설과 케이블 비용 등
- 가공대비 7~14배로 매우 큼 고장 복구시간이 길다 : 고장점 검출이 가공에 비해 쉽지 않아 그만큼의 고장의 복구도 지연된다.
- 과부하 및 단락사고 등에 의한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있음 : 케이블의 PVC, 전력구 내에서 과열로 화재 발생 우려
- 1회선 송전용량이 비교적 낮음 : 동선을 사용하지만 구조상 발생 줄열에 대한 방열장해로 인한 송전용량 저하
기타 특징으로 고장의 유형은 영구사고의 형태로 발생, 외부 환경과 차단되어 순시고장은 없다고 봄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