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 정격사항 | FUSE사용 | 시공시주의사항 | 결선법 | 중성점불안정현상 |
계기용 변압기란 어떤 전압 값을 이에 비례하는 전압으로 변성하는 계기용 변성기를 말한다.
1) 건식
절연재료로 종이, 면 등을 절연 와니스에 진공 함침한 것을 사용한 것으로 저 전압 옥내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2) Mold형
흡습에 의한 절연파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합성수지 또는 부틸고무 등을 사용하여 권선 또는 전체를 절연한 것으로 저전압 및 30KV 미만에 많이 사용한다.
3) 유입형
절연유를 절연재료로 사용한 것으로 탱크형으로 비교적 고전압 옥외용에 많이 사용한다.
4) 가스형
절연유 대신 SF6 가스를 사용하여 탱크형으로 제작된다 최근 GIS 설비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권선형과 CPD의 사용구분은 주로 경제성 검토에서 결정되며, 현재 100KV 이상의 CPD가 권선형보다 경제성이 있으며 특히 전력선 반송을 하는 곳에서는 전압이 다소 낮아져도 경제적인 경우가 있으므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1) 권선형
1,2차 모두가 권선으로 제작되어 권수비에 따라 변압비가 결정된다.
|
|
권선형 계기용 변압기"예" |
https://link.coupang.com/a/lfjgU
2) 콘덴서형 계기용 변압기(CCPD또는 CPD : Coupling Capacitance Potential Device)
고전압측을 권선대신 Capacitance를 이용하여 1차전압을 분배시킨 후 사용하기 적당한 전압 TAP을 만들어 이 전압을 권선형 PT로 필요한 전압을 얻는 방식이다.
|
고전압측 권선대신 부싱의 대지간 정전용량을 이용하여 1차전압을 분압시킨후 분압된 전압을 CCPD형과 같은 방법으로 필요한 2차전압을 얻으며, 주변압기와 같이 Bushing이 있는 곳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한 개의 철심에 1,2,3차 권선을 각각 설치하여 2차측은 Y 결선하여 정상전압을, 3차측은 개방 Δ결선하여 영상전압을 얻을 수 있다. 또는 2차측은 1st main용으로 3차측은 2nd main으로 각각 구분 사용한다.
2차권선에 중간탭을 만들어 두가지 전압을 얻을 수 있는 PT로서 Y 결선시 선간전압이 상전압의 √3배가 되기 때문에 상전압을 정격전압의 1/√3에 해당하는 탭을 만들면 선간전압을 정격전압으로 운전할 수 있다.
3. 사용 목적에 따른 분류
사용목적에 따라 접지형과 비 접지형, 상수에 따라 단상과 3상으로 분류
1) 단상 PT
한상분의 PT가 한 대의 기기에 내장된 것으로 3상 측정을 위해선 2대 또는 3대가 필요하다.
2) 삼상 PT
한 대의 기기속에 3상 모두를 측정할 수 있도록 제작된 PT 이다.(정상분 또는 영상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3상을 사용하는 것이 경제적이다.)
3) 보조 PT
단상과 비슷하나 소폭의 전압조정, 위상조정, 절연 및 오차보상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4) 접지식
고압권선의 한단을 접지해서 저감절연 방식을 사용토록 제작되어 경제적이다.
5) 비접지식
고압권선 양단을 모두 전절연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토옥 제작된 방식으로 비교적 고가이다.
2-1. 계기용 변압기의 정격부담이란 변압기 2차측에서 오차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 부하 임피던스를 VA로 표시하며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 V2 : 정격 2차전압(V)
- Zb : 계전기 계측기 2차 케이블을 포함한 총 부하(Ω)
PT회로의 1차전류는 PT 2차 회로의 상태에 따라 결정된다.
즉, 2차회로가 개방되어 있으면 여자전류뿐이고 부하가 연결되면 부하전류가 흐른다. 만약 단락되면 단락전류가 흘러 소손될 우려가 있다.
PT 2차 부하는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부하가 증가하면 부하 임피던스는 감소하고 정격부담을 초과하여 감소하면 오차가 발생한다.
정격부담을 많이 초과하거나 단락상태가 되면 1차에는 단락전류가 흘러 소손될 우려가 있다.
계급 | 정 격 부 담 (VA) | ||||||
0.1급 | 10 | 15 | 25 | - | - | - | - |
0.2급 | 10 | 15 | 25 | - | - | - | - |
0.5급 | - | 15 | - | 50 | 100 | 200 | - |
1.0급 | - | 15 | - | 50 | 100 | 200 | 500 |
3.0급 | - | 15 | - | 50 | 100 | 200 | 500 |
정격부담 (VA) |
케이블길이m | |||||||
30 | 50 | 75 | 100 | 150 | 200 | 250 | 300 | |
100 | 3.5 | 3.5 | 5.5 | |||||
200 | 3.5 | 5.5 | 8 | 14 | ||||
500 | 5.5 | 8 | 14 | 22 | ||||
500(영상) | 3.5 |
실제의 1차전압과 2차전압 또는 2차 전압의 비가 공칭 변성비(명판)에 대한 오차를 나타낸다.
구분 \ 국별 |
계 전 기 용 |
계 기 용 |
||||
계급 |
부담 | 허용오차 |
계급 |
부담 |
허용오차 |
|
한국 KSC 1701 |
0.5 1.0 3.0 0.1 0.2 |
일반용 일반용 일반용 표준형 표준형 |
±0.5% ±1.0% ±3.0% ±0.1% ±0.2% |
0.3W 0.5W 1.0W |
전력수급용 " " |
- |
미국 (ANSI) |
W X Y Z ZZ M |
12.5 25 75 200 400 35 |
- | 1.2 0.6 0.3 |
- - - |
± 1,2% ± 0.6% ± 0.3% |
영국(BS) | E F |
- - |
±3% ±10% |
A B C |
- - - |
±0.5% ±1.0% ±2.0% |
일본 (JEC) | 2차용 | 3차용 | ||||
1.0 3.0 |
- - |
±1.0% ±3.0% |
3G 5G |
- - |
± 3% ± 5% |
1차 전압벡터에 대해 180°회전시킨 2차전압 또는 3차 전압의 벡터가 이루는 각을 분으로 나타낸 것이다.
1차전압의 방향에 대하여 2차전압의 방향을 나타내는 특성이며, 감극성과 가극성으로 분류되고 한국에서는 감극성을 표준으로 하고 있다.
즉 감극성은 U단자에 1차전압의 +측이 가해지면 2차전압의 +측은 u단자로 나타난다. 가극성은 이와 반대로 v 단자에서 +측이 나타난다.
보호용으로 사용되는 PT 선정시 CT와 같은 보호구간은 없다. 일반적으로 154KV 이하 계통에서는 선로마다 설치하지 않고 모선에 모선종합 PT를 설치하여 공동사용한다. 154KV Loop 계통에서는 자동재폐로 방식 운전에 따른 동기검정계전기용으로 선로측에 단상 PT 한 대를 설치한다.
345KV 계통에서는 모선종합 PT를 사용하지 않고 각 선로마다 설치하여 사용한다.
발전소 또는 변전소의 구내 상배치를 확인하고 PT의 1차측과 2차측의 상을 일치시킨다. 일치가 불가능할 때에는 상을 확인후 실계통에 맞도록 사용한다.
오차계급 부담 등과 같이 PT의 특성과 계측기 및 계전기가 요구하는 특성이 일치하도록 한다.
PT의 2차회로는 CT 와 마찬가지로 계전기측에서 접지한다. 이 경우에도 CT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드시 1점에서만 접지하고 다중접지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결선방법 | 특징 |
1. Y 결선
|
|
2. △ 결선
|
|
3. V 결선
|
|
4. 직병렬결선두 대의 단산 PT를 직렬 또는 병렬로 결선하는 방법으로 4가지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벡터 합성시 외에는 별 의미가 없어 사용되지 않는 방법이다.그림a는 1차 및 2차권선 모두를 직렬로 결선한 경우이다. 이때 종합변압비는 변하지 않고 전압은 반전압이 걸리게 된다. 그림b는 1차는 직렬, 2차는 병렬로 결선한 경우이다. 종합변압비는 배가 되고 전압은 반전압이 걸린다. 그림C는 1차는 병렬, 2차는 직렬로 결선한 경우이다. 종합변압비는 반이되고, 전압은 정격전압 그대로 이다. 그림D는 1차 및 2차권선 모두를 병렬로 결선한 경우이다. 종합변압비 및 정격전압 모두 변하지 않고 그대로이다. |
|
철 공진을 일으켜 중성점에 복잡한 과도진동이 생기게 되는데 이것이 원인이 되어 정상진동으로 진행되어 계기용 변압기의 대지전압이 높아져서(정상전압의 2~3배) 철심이 포화되고 돌입전류가 흐르게 된다.(계속 반복된다)
GPT의 부담을 적당히 크게 한다.
[사이트 소개] 공학 5호관 전기공학관 까페 (0) | 2020.11.10 |
---|---|
직입기동이란..? (0) | 2019.12.03 |
전선관(Conduit)의 종류 (0) | 2019.12.03 |
Network Protection & Automation Guide (0) | 2019.10.02 |
X/R raio란 무엇이고 왜 중요한가? (0) | 2019.09.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