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 채석작업시 작업계획 포함사항
- 1) 굴착면의 높이와 기울기
- 2) 발파방법
- 3) 암석의 분할방법
- 4) 암석의 가공장소
- 202 안전대의 훅, 버클 부분의 폐기기준
- 1) 전체적으로 녹이 슬어 있는 것
- 2) 이탈방지 장치의 작동이 나쁜 것
- 3) 훅과 갈고리 부분의 안쪽에 손상이 있는 것
- 203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 기초가 갖추어야 할 조건
- ※ 비계가 갖추어야할 3요소
- 204 지하작업 가스공사 중 가스농도 측정 시점
- 1) 매일 작업을 시작하기 전
- 2) 당해 가스에 대한 이상을 발견한 때
- 3) 당해 가스가 발생하거나 정체할 위험이 있는 장소가 있는 때
- 205 이동식 비계 조립하여 작업시 준수사항(4-80)(안전규칙 제 381조의 3)(751)(4-186)(598)
- 206 말비계 조립하여 사용할 때 준수사항
- 207 말비계 위 작업 중 위험요인(불안전 요소)(4-123)
- 추가 1) 작업발판의 설치 불량
- 208 방망사의 인장강도(651)(270)(594)
- 변경 A. 방망사 신품에 대한 인장강도
- "그물코의 크기
- (단위 : Cm)" 방망의 종류(단위 : Kg)
- 매듭 없는 방망 매듭 방망
- 10 240 200
- 5 110
- B. 방망사 폐기시 인장강도
- "그물코의 크기
- (단위 : Cm)" 방망의 종류(단위 : Kg)
- 매듭 없는 방망 매듭 방망
- 10 150 135
- 5 60
- 209 터널굴착 작업시 시공계획의 작성내용(포함사항)(4-16)(다수)
- 1) 굴착의 방법
- 2) 터널지보공 및 복공의 시공방법과 용수의 처리방법
- 3) 환기 또는 조명시설을 하는 때에는 그 방법
- 210 손수레 작업 중 사고 발생. 원인 및 안전대책(712)(654)
- 1) 손수레에 적재정량을 초과하여 적재하였음. ㅡ> 적재정량을 초과하지 않도록 할 것.
- 2) 1인 운반 및 감독자 미재치 ㅡ> 2인 1조 운반 및 현장감독자 배치
- 211 근로자가 외부 비계를 타고 올라가다가 추락사고 발생. 사고발생 원인 및 안전대책
- 1) 외부비계에 작업발판 미설치 ㅡ> 작업발판 설치
- 2) 추락 및 낙하물방지망 미설치 ㅡ> 추락 및 낙하물방지망 설치
- 212 불도저의 정의
- - 블레이드를 트랙터의 앞부분에 90°로 설치하여 블레이드를 상하로 조종하면서 흙의 표면을 밀면서 깎고 정지작업을 하는 기계로,
- 일반적으로 운반거리 60m 이하의 배토작업에 사용한다.
- 213 불도저의 용도
- 1) 지반의 굴착 및 정지작업
- 2) 운반, 성토 및 매몰작업
- 214 안전대용 로프의 구비조건(4-20)
- 215 고압활선작업시 감전방지대책(고압 충전전로 취급작업시 감전위험 방지대책)(4-21)
- 1)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
- 2) 절연용 방호구를 설치.
- 3) 활선작업용 기구 사용
- 4) 활선작업용 장치 사용
- 216 특고압활선 근접작업시 안전조치사항(610)
- 1) 활선작업용 장치 사용
- 2) 근로자 신체 등에 대하여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한계거리 유지
- 3) 당해 충전전로에 대한 접근한계거리가 유지될 수 있도록 보기 쉬운 장소에 표지판을 설치하거나 감시인을 두고 작업 감시.
- 217 충전전로(고압선) 근처, 접근하는 장소에서 시설물의 건설작업시의 감전방지대책(729)(4-56)(4-177)
- 218 터널공사현장 불안전한 행동
- 1) 복장 및 보호구 착용 불량
- 2) 불안전한 작업자세와 동작
- 3) 불량한 작업통로 상태 방치
- 219 터널공사현장 불안전한 상태(723)
- 220 타이어 롤러 용도(특징) - 타이어의 압력에 의하여 흙 등을 다지는 롤러(4-33)
- 용도 : 다짐작업
- 1) 성토의 전압작업
- 2) 아스팔트 포장의 마무리 전압작업
궁금한 점이나 함께 토론하고 싶은 주제가 있으면 댓글 또는 방명록에 남겨 주세요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