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력전류 형태에 따라 전기기기를 구분하자면 아래의 그림 1과 같이 선형 부하와 비선형 부하로 구분지을 수 있습니다 | ||||
| ||||
| ||||
![]() | ||||
![]()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현재 대부분의 전기기기는 다이오드 , 트랜지스터 , 사이리스터에 의하여 구성된 전원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점점 선형 부하에 비하여 비선형 부하의 비중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기 때문에 현재의 공장 , 빌딩 혹은 가정의 입력측 전류에는 매우 많은 고조파 성분이 포함된 상태 입니다 . 위와같은 이유로 비선형 부하 는 전력품질의 관점에서 보면 그림 3과 같이 고조파 전류원 으로 볼 수 있으며 이로 부터 발생된 고조파 전류는 전원단으로 역류하게 됩니다.
| ||||
![]() | ||||
![]() | ||||
| ||||
![]() | ||||
| ||||
| ||||
| ||||
제 1절 고조파 (0) | 2013.05.16 |
---|---|
고조파 관리 기준에 대한 국제기준(IEC, IEEE) 비교 (0) | 2013.05.16 |
고조파의 영향 (0) | 2013.05.16 |
고조파 규정 및 규제치 (0) | 2013.05.16 |
Ferro Resonance - Introduction,Classification and Characterstics (0) | 2013.05.09 |
댓글 영역